[다산칼럼] '60세 정년법', 이젠 임금체계 손봐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임금피크제 적용 등 초점맞추고
장시간 근로 악순환 고리 끊으며
한발씩 양보해야 삶의질 높아져
이인실 < 서강대 교수·경제학 insill723@sogang.ac.kr >
장시간 근로 악순환 고리 끊으며
한발씩 양보해야 삶의질 높아져
이인실 < 서강대 교수·경제학 insill723@sogang.ac.kr >
![[다산칼럼] '60세 정년법', 이젠 임금체계 손봐야](https://img.hankyung.com/photo/201304/01.7410929.1.jpg)
베이비붐 세대의 맏이 격인 친구들과 만나면 화제는 온통 취직문제로 쏠린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멕시코 다음으로 근로자가 오래 일하는 나라인데도, 일을 못해서 괴로운 자식들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NEET(25~29세 청년 비경제활동인구) 비중도 25.9%로 OECD 국가 중 스페인과 이탈리아를 빼고는 가장 높다. 15~64세 기준 고용률이 OECD 평균인 64.8%보다 낮은 63.9%인데도 OECD 국가 중 근로시간이 두 번째로 길다는 것은 우리나라가 인적자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ADVERTISEMENT
공약지키기의 연장선상에서 정년을 60세로 의무화하는 법안이 3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6~7년 전부터 정년 의무화 논의가 나왔지만 그 시행은 시기상조이며, 부자간 일자리 전쟁이 터질 거라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그럼에도 2016년부터 대기업, 공공부문에서부터 정년을 60세로 의무화하는 법에 여야가 모처럼 의견일치를 본 것이다. 하지만 정년연장을 법적으로 보장하고 지키지 못하는 사업장에 대해 처벌하는 조항을 두는 법이 발효된다고 해서 실질적인 은퇴연령이 현재의 53세에서 얼마나 늘어날지는 의문이다. 법으로 의무화하지 않아도 정년연장은 이미 필요한 사업체별로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정년연장법의 개정은 매우 의미가 크다. 정년연장은 수명이 늘어난 만큼 정년도 현실화해야 한다는 일종의 사회적 합의의 발현으로 볼 수 있고 베이비붐 세대의 대량 퇴직 사태에 대처하는 방안이기도 하다. 결국은 정부의 재정부담으로 남게 될 조기퇴직자의 고용 불안정과 일자리 문제, 연금재정과 의료보험 등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도 있다.
ADVERTISEMENT
이번 법개정을 계기로 기업의 노동선호도 제고를 통한 일자리 창출로 패러다임을 바꾸어야 한다. 일자리 비용을 낮추기 위해 노동시장의 양적 유연화가 아니라 질적인 유연화가 필요하다. 이제 정년연장으로 무리한 초과근무를 피하고 임금유연화를 수용할 환경은 조성됐다. 노사가 모두 동적인 관점에서 고용문제를 보고 한발씩 양보해야 모처럼 여야가 합의해 얻은 고령자고용촉진법이 빛을 발할 것이다.
이인실 < 서강대 교수·경제학 insill723@sogang.ac.kr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