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경기 침체ㆍ2030세대 감소 때문

지난해 주택경기 침체로 인구이동률이 1974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인구이동 수 역시 6년째 줄면서 1979년 이후 처음으로 700만명 대로 내려앉았다.

◇전체 인구이동률은 최저…전년보다 7.6% 감소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2년 국내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지난해 읍·면·동 경계를 넘어 이동한 사람은 750만7천명으로 1979년(732만4천명) 이후 가장 적었다.

전년보다는 7.6%(62만명) 줄었다.

인구 100명 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지난해 14.9%로 전년보다 1.3%포인트 감소했으며 1974년(15.3%) 이후 38년 만에 가장 낮았다.

지난해 인구이동 감소는 경기침체로 주택시장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통계청 이재원 인구동향과장은 "지난해 주택거래량이 전년보다 26만4천건 감소했는데 감소 1건당 2~3명만 잡아도 전년 대비 감소분(62만명)의 대부분이 설명된다"고 말했다.

중장기 측면에선 고령화가 영향을 미쳤다.

이동 성향은 결혼과 취업 적령기인 20~30대에서 가장 높은데 이 계층의 인구는 2002년에 견줘 227만명 줄었다.

같은 기간 60세 이상 인구는 253만명 늘었다.

산업화ㆍ도시화가 완료 단계에 접어들고 교통ㆍ통신이 발달한 점도 추세적으로 인구 이동률을 낮추고 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연령별 인구이동률은 모든 연령층에서 줄었다.

10세 미만(1.7%포인트)과 20대(1.5%포인트), 30대(1.2%포인트)에서 감소폭이 컸다.

성별로는 남자가 15.0%로 여자(14.8%)보다 약간 높았다.

◇중부권 순유입ㆍ영남권 순유출 계속돼
권역별 순이동(전입-전출)은 중부권과 수도권이 전입 초과였지만 영남권과 호남권에선 전출 초과를 보였다.

중부권(대전ㆍ세종ㆍ강원ㆍ충북ㆍ충남)의 순이동은 3만3천명으로 2011년(3만5천명)에 이어 4대 권역 가운데 순유입이 가장 많았다.

수도권 규제를 피해 기업체의 투자가 몰리는 등 반사 이익을 누린 것으로 풀이된다.

수도권(서울ㆍ인천ㆍ경기)은 2011년 통계 작성 최초로 순유출(-8천명)을 기록했으나 지난해 7천명으로 순유입을 회복했다.

호남권(광주ㆍ전북ㆍ전남)은 -1만명, 영남권(부산ㆍ대구ㆍ울산ㆍ경북ㆍ경남)은 -3만5천명으로 20대 인구가 수도권과 중부권으로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순유입은 경기가 8만3천명으로 규모가 가장 컸다.

인천(2만8천명), 세종(1만7천명) 등의 유입도 많았다.

경기 전입자의 54.4%는 서울에서 들어온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서울은 -10만4천명을 기록해 순유출 1위를 차지했으며 부산(-2만1천명), 대구(-1만1천명) 도 인구가 빠져나갔다.

서울 전출자의 60.1%는 경기로 유출됐다.

시군구별 순이동률을 보면 경기 김포시가 10.6%로 순유입률이 가장 높았다.

인천 서구(6.7%), 부산 기장군(5.2%), 인천 중구(4.9%) 등도 높은 수준이다.

인천은 송도ㆍ청라ㆍ영종 등 활발한 택지지구 개발이 영향을 미쳤다.

이에 반해 경남 하동군(-5.5%), 전북 진안군(-5.3%), 전북 진안군(-5.3%), 충남 계룡시(-3.9%) 등은 순유출이 많았다.

(세종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clap@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