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등 공공기관이 300억원 이상 대형 공사를 발주하는 데는 5개 방식이 있다. 설계·시공을 일괄 발주하는 ‘턴키’와 설계가 끝난 뒤 동일 금액 내에서 대안설계를 제시하고 낙찰받으면 시공까지 맡는 ‘대안입찰’도 있다. 기술제안 방식은 기본설계를 발주처에서 제공한다. 이를 토대로 시공 관련 기술제안서를 제출하는 ‘기본설계 기술제안 입찰’과 실시설계와 관련된 기술제안서를 내는 ‘실시설계 기술제안 입찰’로 나뉜다.

고난도 기술이 필요하지 않아 일반 업체가 참여할 수 있는 공사는 ‘최저가 입찰’로 발주한다. 300억원 미만은 공사 경험, 시공능력평가, 재정여건 등을 고려해 ‘적격성 심사’로 시공사를 선정한다.

건설업계에서는 최근 턴키와 대안입찰이 줄어들고 기술제안과 최저가 입찰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대형 공사 입찰 규모(착공 기준)는 지난해 33조6623억원에서 올해 19조2152억원으로 감소했다. 내년에는 38조2000억원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내년에는 주한미군 이전 공사와 혁신도시 관련 공사 발주가 많아 최저가 입찰과 기술제안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김용주 국토해양부 기술기준과 사무관은 “턴키와 대안입찰 대신 기술제안이 대표적 발주 방식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2007년 국가계약법을 통해 도입된 기술제안은 사업 초기 입찰 부담이 작아 중소 건설업체도 참여 가능하고 민간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활용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건설업계에서는 서울시가 턴키입찰을 중단하기보다는 프로젝트별로 적합한 발주 방식을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게 합리적일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영환 건설산업연구원 건설관리연구실장은 “턴키의 장점은 다양한 시공 경험이 있는 건설사가 공사기간을 명확하게 제시한다는 점”이라며 “턴키를 중단하는 건 발주처가 스스로 자기 손발을 묶는 모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중견 건설업체는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건설사 수주 담당자는 “최저가 입찰이 늘어날 경우 상대적으로 원가경쟁률이 높은 중견업체들이 수주한 뒤 설계변경을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