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건설기능인 대부분은 여전히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1년 기준으로 건설기능인의 평균 연간 임금 소득은 2000만원으로 제조업 근로자(3227만원)의 62%에 불과하다. 연간 근로 일수도 평균 213일로 다른 업종의 80% 수준에 그친다.

임금 체불과 산업재해도 심각하다. 지난해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한 건설기능인은 3만5677명, 체불금액은 1666억원에 달한다. 전체 산업 중 건설업의 체불 근로자 수와 체불금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2.8%와 15.3%로 건설취업자 수의 비중(7.2%)보다 높다. 건설업 재해자도 2만2783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1.2% 증가했다. 사망자도 621명으로 1.6% 늘었다. 하루 평균 1.7명, 매주 12명의 건설기능인이 목숨을 잃는 셈이다. 고령화도 심각해 40대 이상이 전체의 79%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건설업체들의 ‘제살 깎기’식 과당 경쟁과 가장 낮은 금액을 써낸 업체가 공사를 수주하는 최저가 낙찰제 공사가 건설기능인의 저임금과 임금체불, 산업재해를 부추긴다고 지적한다. 김명수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최저가 낙찰제 공사의 낙찰률이 예정가의 70% 수준이어서 노무비를 삭감할 수밖에 없다”며 “비정상적인 낙찰금액을 합리적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령화를 대비한 청년층 진입도 숙제다. 심규범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명확한 직업전망과 고용안정,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 등을 통해 유능한 청년 인력을 건설근로자로 육성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