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주택’은 보통 주택담보대출금과 전세보증금을 합친 금액이 현재 매매가격의 80%를 넘는 집을 말한다. 집주인이 빚을 감당하지 못해 깡통주택을 경매에 넘기게 되면 제값을 받지 못하고 결국 집주인과 세입자 모두 피해를 입게 된다.

문제는 집값이 더 떨어지면서 자칫 깡통주택이 될 우려가 있는 주택도 점점 늘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담보인정비율(LTV) 60%를 초과하는 은행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44조원(3월 말 기준)에 달한다. 지난해 말(41조4000억원)보다 2조6000억원 늘어난 규모다. 전체 주택담보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말 15.0%에서 같은 기간 15.6%로 늘어났다. 그만큼 깡통주택이 될 위험에 노출된 집이 증가하고 있다는 얘기다.

특히 서울과 인천·용인·과천·분당 등 수도권의 집값 하락세가 큰 편이어서 이들 지역의 LTV는 급격히 오르고 있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작년 말 대비 8월 말 현재 서울 아파트값은 2.5%나 떨어졌고,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도 2.2% 하락했다. 아파트값 하락으로 깡통주택을 보유한 가계의 부실이 커지고, 다시 부동산 경기침체를 부채질하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금감원 관계자는 “아직 은행들의 평균 LTV는 50% 이하로 양호한 편이지만 수도권 내 신도시의 경우 LTV 비율이 급격히 오르고 있어 실태를 점검하고 추가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