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애플 vs 파나소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둥글지만 경계없는 '평평한 세계'
기업흥망史…창의적 인재가 좌우
조웅기 < 미래에셋증권 대표이사 cho@miraeasset.com >
기업흥망史…창의적 인재가 좌우
조웅기 < 미래에셋증권 대표이사 cho@miraeasset.com >
이처럼 둥근 지구를 두고 ‘세계는 평평하다(The World is flat)’고 주장한 인물이 뉴욕타임스의 칼럼니스트 토머스 프리드먼이다. 그는 2005년 비즈니스 환경을 ‘세계는 평평하다’는 책에서 설명했다. 평평함의 대표적인 사례가 인도와 필리핀에 있는 글로벌 기업의 콜센터다. 미국에서 콜센터에 전화를 하면, 그들이 상대하는 사람들은 미국인이 아닌 인도인과 필리핀 사람이다. 이처럼 국가 간 경계를 넘어 동시(同時)적 삶을 사는 게 평평한 세계화의 모습이다.
ADVERTISEMENT
소니, 파나소닉, 샤프 등 일본 가전 3사는 한때 전 세계 전자산업을 호령했다. 이들의 올해 손실 규모가 총 20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1970~1980년대 ‘메이드 인 재팬’은 ‘품질 보증수표’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런 손실 규모는 그야말로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애플의 직원 수는 파나소닉의 4분의 1 정도밖에 안 되는 5만명이지만 애플의 기업 가치는 550조원으로 파나소닉보다 20배나 많다. 종업원의 숫자나 기술력이라는 전통적 경쟁력만으로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우리가 원하는 아이들의 미래는 평평한 세계에서 경쟁력 있는 인재로 성장하는 것이다. 더 이상 표준화한 교육으로 평범한 인재가 되는 삶을 살도록 해서는 안 되고 창의적인 존재로 키워야 한다. 현대 심리학이 조언하는 바는 인간의 창의성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 때 극대화된다고 한다. 창의성의 원천은 호기심이다.
ADVERTISEMENT
조웅기 < 미래에셋증권 대표이사 cho@miraeasset.com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