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기자다 2011] 마흔셋 늦둥이 엄마의 행복론
“나는 마흔세 살, 17년차 주부다. 1995년 결혼해 1996, 1997년 연년생 아이들을 낳았다. 그로부터 13년 뒤, 뜻하지 않은 셋째가 생겼다. 주위에선 둘이면 충분하지 무슨 셋째냐는 반대와 걱정뿐이었다. 하지만 셋째 하은이가 생긴 뒤 우리 가족이 변했다. 남편의 귀가가 빨라졌다. 사춘기에 접어든 중학생 두 아이도 새로운 기쁨을 얻었다. ‘노산’이라 말하는 이들에게 이 말을 꼭 해주고 싶다. 늦둥이가 아닌 ‘행복둥이’라고.”

경기도 광명에 사는 직장맘 박금례 씨(43·사진)는 마흔 둘이던 지난해 셋째를 낳았다. 주위 반대를 무릅쓰고 낳은 셋째지만 가정에 큰 행복을 가져왔다고 한다. 박씨는 “새로 생긴 아이로 인해 삶의 의지와 일에 대한 욕구를 새로이 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 따르면 30~40대 여성의 출산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5~39세의 경우 여성 1000명당 출산율이 1990년 9.6명에서 2000년 21.2명, 2010년에는 32.6명으로 올랐다. 40~44세도 1990년 1.5명에서 2000년 2.6명, 작년에는 4.1명이었다.

대개 삼십대 후반을 지나 마흔을 넘기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마련이다. 청년도 아니고 노년도 아니다. 사회적으론 지위를 다질 시기지만 체력은 점차 떨어지고, 사춘기 자녀들은 부모와 멀어지려 한다. 노후 제2의 삶을 계획해야 할 때이기도 하다. 이런 상황에서 사십대 안팎의 출산은 축복보다 걱정이 앞섰다. 하지만 여성의 대학 진학률 상승과 경제활동 증가로 결혼연령이 늦어지면서 늦둥이, 다둥이 출산도 자연스러운 현상이 됐다. 여기에 저출산 대책과 의료기술 발달이 늦둥이를 낳는 데 따른 걱정을 덜어준다.

올해 결혼한 직장인 성용석 씨(38)는 “아내는 노산이 될 텐데도 아이 셋을 갖겠다는 의지가 완강하다”며 “주변에도 다자녀, 늦둥이가 자주 보인다”고 달라진 분위기를 전했다. 반면 현재 임신 7개월인 외국계회사 부장 홍혜정 씨(가명·37)는 “나이를 먹었지만 둘째를 갖겠다는 생각은 변함없었고 아이가 생기면 오히려 일에 대한 의욕이 생긴다”면서도 “동년배 남자 동료와 비교하면 출산과 육아 부담은 필연적인 짐”이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초등학교에서도 마흔을 훌쩍 넘긴 학 부모들을 쉽게 볼 수 있다. 경기도 용인 나산초등학교 신희상 교사(38)는 “요즘은 40~50대 부모도 무리 없이 아이를 키울 수 있고 이들의 자녀도 학급에서 다른 아이들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고 설명했다. 결혼정보업체 듀오가 조사한 20~30대 미혼 남녀의 희망 자녀 수는 평균 2.0명(남 2.04명, 여 1.96명)으로 나타났다. 올해 출산율이 1.23명인 것에 비하면 출산율 상승의 고무적인 징후로 볼 수 있다.

신현정 안양과학대 사회복지과 교수는 “늦둥이·다자녀는 고령화로 인한 세대 간 갈등을 완화하고 노인세대를 보살필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출산장려 정책의 일환으로 다자녀 가정 주택 특별공급, 둘째아 이상 고등학교 수업료 지원 등을 시행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저출산정책과 조충현 사무관은 “미숙아 치료, 선천성 기형 검사를 지원하는 데 상대적으로 고령의 임산부들이 혜택을 많이 받는다”고 귀띔했다.(이하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