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 11 옵션쇼크' 이후 1년이 지나 11월 옵션만기가 돌아왔다.

10일 증권업계에선 11월 옵션만기가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것이란 데 보다 무게를 두고 있다. 작년 11월 당시와 같이 큰 충격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이탈리아 재정위기 공포가 고조되면서 증시 충격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남아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11월11일 옵션만기일 장중 상승세를 보이던 코스피지수가 동시호가 시간대 대규모 매물이 쏟아지면서 53포인트 넘게 급락했다. 증권업계에선 이를 '11 · 11 옵션쇼크'라고 불렀고, 검찰에선 도이치은행 홍콩지점과 한국도이치증권의 시세조종으로 사건으로 결론지었다.

최동환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기관과 외국인의 경우 중립적인 차익 스탠스가 유지될 전망"이라며 "2000억원 규모의 매수잔고가 컨버전(합성선물 매도+선물 매수)으로 전환돼 제한적 매도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호상 한화증권 애널리스트도 "전날 베이시스(선·현물가격 차이) 개선과 함께 차익거래를 통해 3621억원 규모의 매수세가 추가 유입, 10월 선물·옵션동시만기 이후 차익거래는 1조1217억원 규모 수준으로 늘었다"며 "단기차익거래를 통해 출회될 수 있는 자금 규모가 4000억원 수준임을 고려하면 프로그램 매물 부담이 있지만 대량의 매물로 증시가 충격을 받을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또한 최근 선물시장의 외국인 매매 동향 등을 고려하면 지난 11 · 11 옵션쇼크가 재현될 가능성은 낮다는 진단이다.

이 애널리스트는 "11 · 11 옵션쇼크는 외국인이 옵션만기를 이용해 대량의 차익거래 매물을 한꺼번에 청산했기 때문에 발생했다"며 "현 시점에선 외국인의 차익거래 자금이 모두 빠져나간 상태로 판단되고, 우려되는 매물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작년과 같은 사태가 다시 반복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옵션만기를 맞은 이날 비금융주에 대한 공매도 금지가 해제되고, 이탈리아 10년물 국채 금리가 7%를 넘어서는 등 여러 변수의 영향이 있어 종목별로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10년물 국채 금리는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불리는 7%를 돌파했다. 그리스, 포르투갈, 아일랜드가 국채 금리 7% 상회 후 구제금융을 받았다는 전례가 있어 공포가 전날 미국 증시를 압박, 주요지수가 3% 넘게 폭락했다.

한경닷컴 오정민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