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수명 '100세 시대'가 화두다. 90세를 넘겨 사는 노인들은 이미 흔하다. 앞으로 20~30년 후에는 100세까지 사는 이들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 추세에 따라 투자 포트폴리오를 짜는 방법도 달라지고 있다. 종전엔 부동산 주식으로 무조건 돈을 많이 버는 것이 목표였다. 재테크 자체가 목적이었다. 하지만 최근엔 다르다. 건강하게 오래 살기 위해 필요한 돈을 계획적으로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바로 '생애 재무설계'다.

생애 재무설계는 재테크와 다르다. 재테크는 목표가 없다. 예를 들어 '종잣돈 1억원 만들기'나 '투자로 10억원 벌기' 등은 무조건 돈을 버는 것이 목적이다.

하지만 생애 재무설계는 돈을 어디에 쓰려고 하는지 정한 뒤 이에 맞춰 돈을 모은다. 예컨대 자녀 학자금 마련,주택 구입자금 마련,은퇴자금 모으기 등을 정하고 이를 위한 합리적인 계획을 짜는 것이다.
[100세 시대 마스터플랜] 몇년 뒤 무엇을? …목표부터 세워라
◆'몇 년 뒤 무엇을' 계획해야

생애 재무설계를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목표를 정하는 일이다. 보통 생애 주기에 맞춰 주요한 재무 목표를 정하는 방식을 많이 쓴다.

생애 주기는 학생기(10~20세),사회 초년기(20~30세),가정 구성기(30~40세),자녀 성장기(40~50세),가족 성숙기(50~60세),노후 생활기(70세 이후) 등이다. 이 시기에 이뤄지는 가장 대표적인 재무 이벤트는 △결혼 △내집 마련 △자녀 교육 △노후 준비 등이다.

주기별로 주요 목표를 정한 뒤에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3년 뒤 결혼자금 5000만원 마련'이라든가 '5년 뒤 전세자금 1억원 마련','10년 뒤 수도권에서 내집 마련' 등으로 정하면 된다.

당장 눈앞의 일만 챙기다 보면 '은퇴자금 마련'을 놓치기 쉽다. 은퇴자금은 수입이 끊긴 뒤 부부가 생활하는 데 필요한 자금이다. 일반 생활비와 건강이 나빠질 경우에 대비하는 자금 등으로 액수가 적지 않다.

55세에 회사에서 나와 100세까지 산다면 무려 45년을 수입 없이 살아야 한다. 물론 재취업 등을 통해 인생 이모작을 노릴 수도 있지만 건강 상태 악화 등 돌발 변수가 많다. 반드시 은퇴자금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다.

◆재무설계,전문가 도움 받자

목표가 정해지면 재무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현재 소득과 지출 현황,보유 재산 내역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다. 이어 지금의 재무 상태와 목표를 어떻게 맞춰 갈지 전략을 짜야 한다. 저축은 얼마나 해야 하고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방법론이다.

보통 사람들이 가장 까다롭게 여기는 것이 바로 이 단계다. 막연하게 거창한 목표를 세우더라도 실제 실행 능력과 적절한 전략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말짱 도루묵이다.

최근에는 금융회사마다 재무설계 전문가들을 두고 고객들에게 서비스하고 있다. 거래 은행이나 보험사 증권사 등을 활용해 전략을 짜는 데 도움을 받으면 생각하지 못한 부분을 찾아내는 데 보탬이 된다.

위험도와 수익률은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나이가 젊고 목표 수익률이 높으면 주식 파생상품 해외 투자상품 등 다소 위험도가 높은 투자처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볼 수 있다. 반면 나이가 많고 잃어서는 안 되는 돈이라면 예금 채권 등 안전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정석이다.

◆하루라도 일찍 시작해야

생애 재무설계를 짤 때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일찍 시작하는 것이다. 복리의 마술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수익률이 연 6.5%인 상품에 해마다 투자했다고 가정할 경우 최초 원금 1억원을 두 배로 불리는 데는 약 11년이 걸린다. 하지만 이 돈이 3억원이 되는 데는 이로부터 7년이면 된다. 또 4억원까지는 4년이면 충분하다. 갈수록 원금 자체가 불어나면서 생기는 '눈덩이 효과'다.

물론 수익률이 좋은 상품에 투자하면 더 빠른 시간 내에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통상 72의 법칙이 작용한다. 72에서 금리를 나눈 숫자가 원금의 2배가 되는 시간이다. 연 5% 수익률 상품이라면 2배까지 14.4년,연 3% 상품이라면 24년이 걸린다. 하지만 수익률이 높을수록 원금 손실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신중해야 한다.

우재룡 삼성생명 은퇴연구소장은 "경제성장이 둔화하면서 이전처럼 부동산 재테크로 노후 준비를 하는 시대는 갔다"고 말했다. 우 소장은 "젊을 때부터 노후에 대비해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3중 연금을 붓고 과소비 성향을 억제하는 등 미래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