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나리, 진달래도 외국인이 이름 붙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국가생물종의 대부분이 외국인 학자에 의해 발표되고 학명도 붙여진 것으로 드러났다.국가생물종이란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국내에 서식하는 자생생물 3만6921종을 지칭하는 용어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생물종 중 최초로 기록된 시점을 분석할 수 있는 3만2844종의 저자를 분석한 결과,한국인 학자가 최초로 기록해 학명을 붙인 종은 전체의 6%인 2000여종에 불과하다고 17일 발표했다.일본인 학자가 최초로 기록하고 발표한 것은 13%인 4000여종에 달했고 기타 외국인이 2만6000여종(81%)을 기록했다.국내에 서식하는 가장 대표적인 봄꽃인 개나리(학명 Forsythia koreana)는 일본인 학자가,진달래(학명 Rhododendron mucronulatum)는 러시아 학자가 학명을 붙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한반도 자생생물종의 최초발표자는 19세기까지는 주로 서양인이었으며 일제강점기(1910~1945년)에는 일본인이 거의 대부분이었다.한국인 종 발표는 광복 이후에 본격화됐다.
일제강점기에 신종으로 기록된 6000여종 중 일본인은 한반도 고유종 398종을 포함한 2000여종(30%)을 발표했다.한국인이 발표한 종은 13종에 불과했다.이 중에서도 현재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종은 3개에 불과하다.
일제강점기엔 외국인에 의한 한반도 고유종의 해외 반출도 이뤄졌다.미국학자인 윌슨이 반출해 발표한 구상나무는 개량 과정을 거쳐 크리스마스트리로,노각나무는 정원수로 각광받고 있다.
길현종 국립생물자원관 박사는 “국제적으로 자국의 생물자원을 둘러싼 국가 간 보이지 않는 전쟁이 심화되고 있다”며 “우리 스스로 자생생물자원을 하루 속히 발굴하여 주권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생물종 중 최초로 기록된 시점을 분석할 수 있는 3만2844종의 저자를 분석한 결과,한국인 학자가 최초로 기록해 학명을 붙인 종은 전체의 6%인 2000여종에 불과하다고 17일 발표했다.일본인 학자가 최초로 기록하고 발표한 것은 13%인 4000여종에 달했고 기타 외국인이 2만6000여종(81%)을 기록했다.국내에 서식하는 가장 대표적인 봄꽃인 개나리(학명 Forsythia koreana)는 일본인 학자가,진달래(학명 Rhododendron mucronulatum)는 러시아 학자가 학명을 붙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한반도 자생생물종의 최초발표자는 19세기까지는 주로 서양인이었으며 일제강점기(1910~1945년)에는 일본인이 거의 대부분이었다.한국인 종 발표는 광복 이후에 본격화됐다.
일제강점기에 신종으로 기록된 6000여종 중 일본인은 한반도 고유종 398종을 포함한 2000여종(30%)을 발표했다.한국인이 발표한 종은 13종에 불과했다.이 중에서도 현재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종은 3개에 불과하다.
일제강점기엔 외국인에 의한 한반도 고유종의 해외 반출도 이뤄졌다.미국학자인 윌슨이 반출해 발표한 구상나무는 개량 과정을 거쳐 크리스마스트리로,노각나무는 정원수로 각광받고 있다.
길현종 국립생물자원관 박사는 “국제적으로 자국의 생물자원을 둘러싼 국가 간 보이지 않는 전쟁이 심화되고 있다”며 “우리 스스로 자생생물자원을 하루 속히 발굴하여 주권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