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위협을 억제하고 전시작전통제권 환수에 대비해 스텔스 기능을 가진 F-X(차세대 전투기)를 적기에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공군본부 전력소요처장 송택환 대령은 이날 한나라당 김학송 의원 주최로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대한민국 영공 방어,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에서 "올해 예산이 확보되지 않아 사업추진이 2015년에서 2016년으로 지연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송 대령은 F-X 도입의 필요성으로 ▲전력구조가 양적구조에서 질적구조로 변화 ▲전투기 부족 ▲북한 장사정포 수도권 위협 ▲북한 도발원점 응징보복 및 정밀타격 능력 구비 등을 꼽았다.

송 대령은 특히 "적정 전투기 유지대수가 400여대인데 2019년이 되면 전투기가 약 100여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 김 의원은 "수도권을 향하고 있는 북한 장사정포가 모두 342문"이라며 "그러나 북한의 갱도 진지가 북쪽을 향하고 있어 타격이 힘들고 결국 공군력을 이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송 대령은 "2020년 공군 전력구조를 자세하게 말할 수 없지만 F-15K나 F-X 등 하이(high)급 전투기가 전체의 4분의1, 미들(middle)급이 4분의2, 로우(low)급이 나머지 4분의1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 대령은 그러나 후보 기종을 묻는 질문에는 "공군에서 특정 기종을 말한 적은 없고, 방위사업청과 정확한 평가를 한 뒤 적합한 기종을 도입할 것"이라며 "모든 기종의 문호는 개방돼있다"고 밝혔다.

한편 김무성 원내대표는 이날 토론회에서 축사를 통해 "동남권 신공항 문제로 온나라가 시끄러운데 밀양 공항을 주장하는 대구 시민들은 K2비행장 이전을, 가덕도 신공항을 주장하는 부산 시민들은 김해 공군수송부대 이전을 막연하게 기대하고 있다"며 "그러나 양 지역의 군사비행장 이전 가능성이 검토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달 8일 `국방개혁 307 계획'을 통해 스텔스 기종 도입 계획을 밝혔으며, 후보 기종으로 록히드 마틴의 F-35, 보잉의 F-15SE, 유럽항공방위우주산업(EADS)의 유로파이터 타이푼(개량형) 등이 거론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한승 기자 jesus786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