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8일 단행한 개각에서 세대교체와 소통,친서민 강화에 방점을 뒀다.

6 · 2 지방선거 참패 이후 분출됐던 당 · 정 · 청 전반에 대한 쇄신 요구를 수용한 결과라는 게 청와대 측의 설명이다. 이 대통령 측근 인사들의 대거 기용은 집권 후반기 국정 장악력을 높여 나가려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측근 장관,힘 있는 장관들의 발탁은 청와대 중심에서 벗어나 내각 중심으로 국정운영을 해 나가겠다는 뜻이 담겨 있다.

◆핵심 측근 대거 발탁

이 대통령이 측근들을 대거 발탁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재오 특임장관 내정자는 이명박 정부 탄생의 1등공신이며 정권 2인자로 불린다. 이주호 교육,박재완 노동,진수희 보건복지,신재민 문화체육관광 장관 내정자는 대선 과정에서부터 이 대통령 곁에서 선거를 도왔다. 이는 집권 후반기 레임덕을 막고 국정을 확실하게 장악하겠다는 포석이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역대 정부에서 집권 절반을 넘어서면 레임덕이 발생해 정권 운영에 혼란을 가져온 게 관례였는데,이를 차단하고 주요 국정과제를 힘있게 추진해 제대로 마무리하겠다는 뜻이 담겨 있다"고 말했다. 이재오 의원의 특임장관 발탁이나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과 이만의 환경부 장관의 유임은 4대강 사업을 기존 계획대로 강력하게 추진하겠다는 뜻이다. 서민 출신의 김태호 총리 내정과 이명박 정부의 국정과제를 설계한 박재완 장관 기용은 친서민,중도실용 강화와 맥이 닿는다.

◆힘 실리는 부처

핵심 측근들의 장관 기용으로 자연스레 부처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집권 후반기에는 각부 장관들의 권한을 강화한다는 이 대통령의 방침과 연결된다. 이 대통령은 경제 교육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를 직접 챙기는 '만기친람(萬機親覽:임금이 모든 정사를 친히 보살핌)'에서 벗어나 각부 장관들이 전면에서 뛰도록 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꾼다는 방침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국정의 큰 그림을 그리는 데 주력하고 실무적으로는 각 장관들이 책임을 지고 추진토록 한다는 구상에 맞춰 개각이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젊어진 내각…60대에서 50대로

내각의 무게 중심이 60대에서 50대로 넘어왔다. 현 내각을 살펴보면 총 17명 중 60대가 11명으로 절반을 훨씬 넘는다. 50대가 5명,40대는 1명이다. 이에 반해 새 내각은 60대가 3명 줄어 8명이다. 50대는 2명 늘어 7명,40대는 1명 증가해 2명이다. 신임 장관은 특임장관 내정자(65)를 제외하고 모두 40~50대로 채웠다. 2008년 현 정부 출범 당시 60세가 넘었던 내각의 평균 연령은 2기에서 59세로 떨어졌으며 이번에는 58세로 더 내려갔다.

특히 새 국무위원 8명의 평균 연령은 54세다. 지역별로는 영남과 충청이 각각 5명과 3명을 유지했고 호남은 4명에서 3명으로 한 명 줄었다. 평균 재산은 14억7000만원으로 현 내각(26억6000만원)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출신 대학별로는 서울대 8명,고려대와 연세대 각각 3명,육사 · 중앙대 · 조선대 각각 1명이다. 신임 장관 중에는 고려대 출신이 한 명도 없다. 고려대 편중 인사라는 비판을 피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정치인의 대거 입각도 눈에 띈다. 기존 내각에서 정치인 출신은 맹형규 행정안전,최경환 지식경제,임태희 고용노동,전재희 보건복지,주호영 특임장관 등 5명이었으나 이번 개각으로 정치인 출신은 김 총리 내정자를 포함해 8명으로 늘었다. 친서민과 소통을 내세운 이 대통령의 후반기 국정운영 구상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정치인들을 전면 포진,6 · 2 지방선거 참패 원인으로 지적된 대국민 소통과 현장 중심형 서민정책을 강화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세종시 수정안 좌절에서 보듯 주요 국정 현안에 대한 당 · 정 간 엇박자를 사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