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 상태인 국내 부동산 시장이 내년부터는 점차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신영증권은 3일 '부동산 불패의 불씨는 살아있다'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당분간 부동산 시장의 심리적인 위축은 불가피하지만 아직 이러한 부진이 추세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보기는 이르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러한 전망의 근거로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일반인들의 주장과 달리 비이성적이지 않았고, 서울 중심부의 공급은 아직 부족하다는 점을 들었다.

김재홍 연구원은 "2001년 이후 자산별 수익률 추세를 보면 주식, 채권, 전국주택가격 순으로 수익률이 높았다"면서 "이는 한국 자산가격의 상승세는 부동산뿐 아니라 다른 자산군에도 나타난 공통된 현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게대가 최근 부동산 시장의 상대적인 밸류에이션 부담이 줄어드는 점에서 부동산 경기의 개선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주택보급률과 인구 1천명당 주택 수를 감안하면 서울 주택공급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라는 점도 시장의 점진적 회복을 점치는 이유다.

일본의 주택 보급률이 110%를 웃돌면서 주택가격이 하락한 선례가 있지만, 신주택보급률에 주거에 적합하지 못한 주택이 상당수 포함돼 있고, 가구 분화 등으로 1인 가구가 증가 추세여서 국내 부동산의 본격적인 하락을 예상하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LH공사의 택지공급 축소, PF 연체율 상승에 따른 대출 축소, 미분양 적체로 인한 건설업체의 주택사업 축소도 앞으로 국내 주택시장의 공급을 타이트하게 만드는 요소다.

보고서는 시장 조정자로서 정책 당국의 역할이 배제돼 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높은 부동산 보유 비중을 고려할 때 시장 안정대책이 불가피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부동산자산에서 주택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80%에 육박, 정책당국이 부동산 경기 연착륙에 주목할 수밖에 없다."며 "추가 금리 인상이 예상되지만 부동산 시장에 급격한 부담을 제공하지 않는 수준에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국내 경기 모멘텀이 올해 말부터 다시 회복기조로 전환될 것이라는 점에서 부동산시장의 회복 시점은 내년 초부터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luci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