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29일 본회의를 열어 세종시 수정법안을 부결시키면서 지난 9개월간 정국을 뜨겁게 달궜던 세종시 문제는 일단락됐다.

하지만 향후 예정대로 세종시 원안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를 비롯한 `플러스 알파(+α)'를 놓고 논란이 재연될 수도 있어 세종시 논란이 완전 종결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세종시 문제는 지난 2002년 9월 당시 노무현 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청와대를 포함한 중앙정부기관을 충청권으로 이전하는 `신행정수도 건설' 공약을 발표하면서 시작됐다.

세종시 건설을 둘러싼 지루한 논란의 신호탄이었다.

노 전 대통령 당선 이후 `신행정수도건설특별법'이 마련됐고 이후 헌법소원 등을 거쳐 여야 협상 끝에 `12부4처2청'을 충남 연기.공주로 이전하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특별법'이 지난 2005년 3월2일 국회를 통과했다.

탄력을 받는 듯했던 세종시 건설은 2007년 12월 행정부처 이전을 정면으로 반대하던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의 대통령 당선으로 다시 한번 운명의 갈림길에 서게 됐다.

세종시 수정론이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작년 9.3 개각 이후. 당시 정운찬 국무총리 후보자는 개각 발표 직후 "세종시는 경제학자인 내 눈으로 볼 때 효율적인 모습은 아니다"며 수정론에 불을 지폈다.

정 총리는 이후 국회 인사청문회에서도 세종시 수정 방침을 거듭 밝히며 총대를 메고 나서 세종시 문제는 또다시 정국의 핵으로 급부상했다.

충청권에 기반을 둔 자유선진당을 비롯한 야당은 거세게 반발했다.

여기에 수정 반대론자인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세종시 수정 문제를 당 존립의 문제로 규정하면서 이른바 `원안 플러스 알파'를 요구했다.

여야간, 여권 내 친이(친이명박).친박(친박근혜)간 공방은 가속화됐다.

한동안 침묵을 지키던 이 대통령은 작년 11월27일 `국민과의 대화'를 통해 대국민 사과를 하면서 세종시 수정안의 역사적 당위성을 역설하고 청사진을 제시했다.

정부는 같은달 16일 세종시 민관합동위를 발족시키는 등 수정안 마련에 한층 속도를 냈고, 정 총리는 충청 지역을 10여차례 방문, 직접 충청민들의 이해와 협조를 구했다.

올해 1월11일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이 베일을 벗었다.

세종시 성격을 행정도시에서 교육.과학 중심 경제도시로 변경하고 삼성, 한화, 롯데, 웅진 등을 유치하는 내용이었다.

정부는 3월23일 세종시 수정 관련 5개 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하지만 지난 6.2 지방선거에서 여권이 참패하자 여권 일각에서 세종시 `출구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야당은 물론 `여당내 야당'인 친박 측도 수정안 폐기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 대통령은 지난 14일 생방송 연설을 통해 "이제는 국회에서 결정해줄 것을 요청한다.

정부는 국회가 표결로 내린 결정을 존중할 것"이라며 `공'을 국회로 넘겼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우여곡절 끝에 수정안을 지난 22일 국토위 전체회의에 상정, 토론 및 표결 절차를 거쳐 부결시켰다.

찬성 12인, 반대 18인, 기권 1인이었다.

이후 한나라당 친이계 일부는 세종시 수정안의 본회의 부의를 요구, 의원 66명의 서명을 받아 본회의에 제출했다.

여야는 28일 세종시 수정안이 본회의에 상정되면 표결 처리키로 극적 합의했고 29일 본회의 상정 및 표결을 통해 세종시 수정안을 부결시키며 사실상 수정안에 `사망 선고'를 내렸다.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hanajj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