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전국에 있는 약수터,우물,샘터 가운데 22.8%는 마시는 물로 부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부는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한 ‘2009년 먹는물 공동시설 수질검사 결과’를 취합해 분석한 결과 이처럼 나타났다고 9일 발표했다.

조사 항목은 일반세균,총대장균군,대장균군(또는 분원성대장균군),암모니아성질소,질산성질소,과망간산칼륨소비량,증발잔류물 등이었고 전체 시료 수는 9156건이었다.전체 시설 1912곳 중 수원 고갈,시설 정비 등으로 검사가 불가능한 338곳을 제외하고 시료를 채취했으며 1·2·4분기에 각 1회,여름철이 포함된 3분기에는 매달 검사가 이뤄졌다.

먹는물 기준을 벗어난 2092건(22.8%) 중 97.9%에 해당하는 2048건이 일반세균,총대장균군 등 미생물 기준을 초과했다.질산성 질소 등 건강상 유해물질 항목의 부적합 비율은 0.6%,탁도나 알루미늄 등 심미적 영향 물질 항목의 기준 초과 비율은 1.5%였다.

환경부는 수질이 나빠지는 주요 원인으로 주변 오염물질 유입,애완·야생동물의 분변 영향,관리소홀 등을 꼽았다.여름철에는 장마철 빗물 유입과 등산객 증가 등으로 오염이 심해져 29.3%가 기준에 어긋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유형별로 보면 서울 약수터의 36.3%,대구 약수터의 34.3% 등 대도시 지역의 약수터 물이 마시는 데 부적합했으며 제주(0.0%),전남(3.4%),경북(6.5%),경남(7.4%) 등의 부적합률은 대체로 낮았다.전국 먹는 물 공동이용 시설의 수질기준 초과율은 2006년 22.6%,2007년 24.4%,2008년 21.9%였다.

한편 문제가 있는 먹는물 공동이용시설을 관할하는 시장,군수,구청장 등은 수질검사 공개,사용중지·금지,미생물 살균기 설치 등 조치를 취했으며 55개 시설은 폐쇄했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