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기관들이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당장 심각한 상황은 아니라는 진단을 내놨다.

다만, 금리상승 기조 속에서 가계의 금융부담이 중장기적으로 확대될 가능성, 원리금 상환 만기 집중, 저소득층 대출 부실 위험 등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금융연구원 이규복 연구위원은 7일 `최근 가계부채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저소득층보다 중ㆍ고소득층에 집중돼 있다"며 "이러한 경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용도가 높은 계층의 주택담보대출 증가로 더욱 심해졌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규복 위원은 "다만, 생계형 대출수요 비중이 높은 최하위 신용등급의 대출비중이 증가한 것에 주의해야 한다"며 민간 신용평가사의 자료를 인용, 하위등급의 대출 연체율이 2008년 4분기 8.4%에서 지난해 3분기 10.1%로 상승한 점을 지적했다.

그는 "가계대출 증가세가 대출 부실 위험을 추가로 확대시켰을 가능성은 높지 않아 단기간에 경기나 금융 시스템에 충격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LG경제연구원 이근태 연구위원도 이날 `가계부채 위험한가'라는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규모와 상환능력은 다른 나라들의 평균 수준"이라며 "자산 가치가 부채의 3.5배이고 주택 매매지수와 전세지수를 비교할 때 거품도 크지 않아 대규모 상환불능 사태가 벌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그러나 "변동금리 대출비중이 높고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상환 만기가 올해 상반기에 집중적으로 돌아온다는 점이 부담을 확대시키는 요인"이라며 "금융회사들이 자산 위험을 면밀히 평가하고 가계부채와 관련된 미시적 통계들을 정밀하게 분석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zhe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