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재.보선 공식 선거운동이 16일 개시됨에 따라 유권자의 선택 결과에 대한 궁금증도 늘어나고 있다.

국회의원 재선거가 실시되는 지역구는 5개에 불과하지만 정치적인 의미가 과잉부여된 상태고 선거결과에 따라 정국이 요동칠 개연성이 없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선거에서 각 당내 계파갈등과 거물 정치인의 귀환시도 등 휘발성있는 사안들이 어떤 식으로 정리되느냐 여부는 향후 각 당 내부 역학구도뿐 아니라 길게는 차기 대선구도에도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한나라당이 전패할 경우 = 이른바 `5대0' 시나리오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민주당 3석, 무소속 1석, 진보정당 1석, 한나라당 0석을 뜻하는 `3:1:1:0' 혹은 `2:2:1:0', `1:3:1:0'의 구도다.

민주당 입장에선 정동영 전 통일부장관이 무소속으로 출마한 전주 덕진과 신 건 전 국정원장이 무소속 출마한 전주 완산갑 선거 결과에 따라 최대 세곳에서 승리할 수도 있고, 부평을 한곳에서만 승리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단 한나라당이 전패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당내 역학구도의 변화는 차치하더라도 당장 지도부 책임론이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원외인 박희태 대표의 리더십은 약화될 수밖에 없고, 결국 지도부 공백 사태가 초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박 대표 체제가 붕괴되고 조기 전당대회를 통해 당권전쟁이 벌어질 경우엔 이미 계파간 갈등의 골이 깊은 한나라당의 원심력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란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또한 여권은 정국의 주도권을 상실하고 야당 공세에 끌려다닐 가능성이 농후하다.

현재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라는 초대형 이슈에 가려져 있지만, `5대0'이라는 결과가 나올 경우 이번 선거의 성격을 `이명박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로 규정하고 있는 야당의 주장에 탄력이 붙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민주당 입장에선 텃밭인 전주 지역구 2곳의 선거결과에 따라 당내역학구도의 변화도 예상되지만 수도권인 인천 부평을에서만 승리한다면 사실상의 승자로서 정국의 주도권을 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이 전패할 경우 = 역시 한나라당이 텃밭인 울산 북구와 경북 경주에서 어떤 성적을 거두느냐에 따라 한나라당 3석, 무소속 2석, 민주당 0석을 뜻하는 `3:2:0' 혹은 `2:3:0', `2:2:1:0' 구도가 될 수 있다.

한나라당이 인천 부평을에서만 승리하고 무소속과 진보정당이 나머지 지역구를 모두 가져가는 `1:3:1:0' 시나리오도 상정할 수 있다.

어떤 방식으로든 민주당이 전패한다면 정세균 대표 체제의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정 전 장관에 대한 공천불가라는 결단을 내린 정 대표가 선거패배의 정치적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정 대표가 물러날 경우엔 조기 전당대회를 개최하거나 비상대책위원회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지도부가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정 전 장관의 복당 여부와 복당 시기는 새로운 지도부 구성 결과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관측이다.

한나라당은 제1야당인 민주당이 전패 후유증으로 내홍에 휩싸인다면 향후 정국주도권을 행사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나라당이 부평을이나 울산 북구에서 승리해놓고서도 친박무소속인 정수성 예비역 육군대장이 출마한 경주에서 패배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당내 역학구도에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친박계의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당내 주류인 친이계의 원심력화 개연성이 크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의 영향력이 급속하게 축소되고, 최근 잠행하고 있는 이재오 전 의원의 역할에 대한 주류 내부의 기대감이 제고될 수 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각각 1개 이상의 지역구에서 승리할 경우 = 여야가 각각 최소한 1승 이상 거두는 경우엔 수도권인 부평을의 승자가 누구냐에 따라 정국의 흐름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이나 민주당이 각각 텃밭에서 승리하고 부평을까지 승리한다면 명실상부한 재.보선의 승자로서 정국의 주도권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또한 각 당이 텃밭에서 무소속에게 패배할 경우에도 부평을에서만 승리한다면 내부 역학구도에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지도부사퇴 등 최악의 상황까지는 이르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일반적이다.

(서울연합뉴스) 고일환 기자 kom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