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빈부격차 심화속도 다른 회원국 압도

우리나라는 노년기의 소득불평등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최고 수준이고, 특히 퇴직 후에 불평등이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노동연구원이 발간하는 `월간 노동리뷰' 최신호의 통계분석에 따르면 한국은 65세 이상 은퇴 세대의 지니계수가 0.396으로 OECD 30개 회원국 중에 멕시코(0.560)에 이어 두 번째를 기록했다.

특히 대다수 국가는 은퇴 후 세대의 지니계수가 근로세대(18∼65세)보다 낮았지만 우리나라는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 근로세대와 은퇴 후 세대의 지니계수는 각각 0.303과 0.396로 멕시코, 일본, 미국 등 8개 국가와 마찬가지로 나이가 들수록 불평등 정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덴마크와 스웨덴은 은퇴 후 세대의 지니계수가 각각 0.201과 0.217로 근로세대 계수(덴마크 0.228, 스웨덴 0.236)보다 낮아 우리나라와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지니계수는 소득이 얼마나 균등하게 나뉘는지를 나타내는 0과 1 사이의 수치로, 0에 가까울수록 소득불평등의 정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통상 0.4 정도가 되면 심각한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원은 "한국과 멕시코의 노년기 불평등 심화는 공적연금이 미성숙한 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고, 미국과 일본은 노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이 확대되는 현상에 부분적인 원인이 있다"고 설명했다.

41∼50세의 가처분소득을 100%로 잡고 OECD 회원국의 기준 연령별 상대소득을 따지면 우리나라는 50세 이후 상대소득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추세가 드러났다.

한국은 51∼65세 연령대의 가처분소득이 40대 소득의 90.0%로 떨어지고 66∼75세에서는 60.2%까지 감소폭이 커졌다.

반면 대다수 OECD 회원국은 51∼65세 연령대의 가처분소득이 41∼50세보다 높거나 약간 낮은 90% 후반대를 유지했다.

연구원은 "노년기의 불평등을 완화하고 노후의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통계분석"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jangj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