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숙형 공립고교 함께 설립

정부가 그동안 상대적으로 낙후된 농어촌의 생활과 산업 환경 개선 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농림수산식품부가 4일 발표한 '농어촌 정주 여건 개선 및 농어촌산업 활성화 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 53곳에 농어촌형 뉴타운을 조성할 계획이다.

50~300가구 규모의 농어촌 뉴타운은 각종 생활편의 시설을 갖춘 전원주택 단지 형태로, 교육 여건 개선을 위해 기숙형 공립고등학교와 맞물려 추진된다.

농식품부는 올해 말까지 지방자치단체 의향을 조사, 5곳의 시범사업 단지를 선정하고 내년부터 총 사업비 1천148억 원(국고 900억 원)을 투입한다.

우선 내년 예산안에는 21억 원의 설계 비용을 배정했다.

농어촌에 제공되는 교육.의료 등 공공서비스 질의 최소 수준을 규정한 농어촌 서비스 기준도 마련된다.

구급차.소방차 도달 시간 등을 기준으로 삼는 영국 등의 사례를 참조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내년 상반기 서비스 실태 조사를 거쳐 하반기에 기준안을 만들고 범정부적으로 추진되는 '삶의 질 향상 계획' 사업에 이 기준을 단계적으로 반영할 방침이다.

농어촌산업 육성 차원에서는 2012년까지 총 2조 원을 들여 농업인 공동투자 식품기업 설립과 한과.전통주 등 향토식품업체의 시설 현대화 등을 지원한다.

올해 500억 원 수준인 농식품분야 전문투자펀드 규모도 2011년까지 1천억 원으로 늘린다.

이 방안은 오는 8일 열리는 제3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회의에 상정, 확정된다.

정학수 농식품부 제1차관은 "현재 상하수도, 보건의료 서비스 부족 등으로 농어촌 주민들의 생활 여건이 매우 취약하고, 젊은이들이 떠나고 있다"며 "농어촌 정주 여건 개선과 고용기회 확대는 농어촌 인구 유입과 국가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shk99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