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액 할당해 '밀어내기' 부작용

은행들이 국제결제은행(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을 높이기 위해 이달 들어서만 4조원에 달하는 후순위채를 경쟁적으로 판매함에 따라 불완전판매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일부 은행들은 후순위채 판매를 독려하기 위해 지점별 종합업적평가(KPI)기준에 포함시키고 지점마다 판매 목표액을 할당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직원들이 정기예금 등 일반저축상품에 가입하려고 온 고객에게 금리가 높고 안전한 상품이라고 권하는 사례가 일부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일부 목표액을 채우지 못한 지점에서는 지점 직원들이 대출을 받아 그 돈으로 후순위채를 매입하는 일까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은행들은 자기자본을 확충하기 위해 올해 말까지 2조원 이상의 후순위채 채권을 추가 발행할 예정이어서 판매경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후순위채는 기업이 파산했을 때 채권자에게 진 빚을 모두 갚은 뒤에야 지급받을 수 있는 채권으로 표면금리가 연 7.7~8%로 높고 매월 이자를 받는 장점이 있지만 만기가 5년 이상으로 길다. 또 중도환매나 담보대출이 불가능해 만기 전 현금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후순위채권은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는다"며 "만기 이전에 현금화하는 방법은 거래 은행 창구를 통해 개인끼리 사고파는 방법밖에 없다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