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硏, "부동산 금융부실화 가능성 낮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경제연구소는 24일 '최근 부동산경기에 대한 진단-금융관점에서' 보고서를 통해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의 경영건전성으로 인해 부동산금융 부실화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삼성연구소가 국내 부동산금융의 안전성을 진단해본 결과, "6월말 현재 시중은행의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비중은 총대출 대비 4.4%에 불과하고 손실흡수능력도 손실을 전액 보전할 수 있는 100%를 크게 상회하는 189%에 달한다"면서 "시중은행과 대형 저축은행의 경우 PF대출 부실화가 경영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연구소는 또 "자산 1조원 이상 대형 저축은행도 고정 이하 여신비율이 15.0% 이하로 양호한 편"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중소형 저축은행의 경우 재무 건전성이 취약해 PF 대출 부실화에 따른 대응능력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저축은행 PF 대출 부도 발생가능성과 확산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부동산금융의 부실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소는 "현 시점에서 실제 PF 대출 부도율은 20% 미만에 그칠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6월말 현재 저축은행 PF 대출 연체율은 14.3%로 전액 부도가 나더라도 부도율은 15%를 넘지 않는다"며 이는 대손충당금과 토지담보 등으로 자체적인 충격 흡수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 국내 부동산금융은 미국과 달리 유동화 비율이 낮고 단순한 1차 유동화에 그치고 있어 부실이 확산될 가능성도 희박하다고 분석했다.
가계신용 부실화의 경우, 2007년 4분기 이후 '가계신용위험지수'가 다시 상승하고 있어 경계할 필요는 있지만, 지나친 위기의식에 빠질 필요는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LTV(주택담보인정비율)와 DTI(총부채상환비율) 등 엄격한 대출규제, 약정만기의 장기화 추세 등을 감안할 때 가계대출 부실화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삼성경제연구소 유정석 수석연구원은 "부동산금융의 부실화는 일부 중소형 저축은행과 건설사에 한정돼 있어 전 금융계나 가계로 확산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면서 "그러나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으로 인해 신용경색이 장기화될 가능성은 높아 금융시장 내 전염효과를 차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 연구원은 또 "부동산금융 불안의 근본 원인인 부동산경기가 안정될 수 있도록 정부는 건설자원배분의 왜곡을 야기하는 과도한 수요 및 공급 억제책을 개선해야 하며, 업계도 대출심사기준 강화 등을 통한 부동산 PF 대출의 건전성 제고, 주택담보대출 만기의 장기화 등을 통한 가계대출의 안정성 제고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삼성연구소가 국내 부동산금융의 안전성을 진단해본 결과, "6월말 현재 시중은행의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비중은 총대출 대비 4.4%에 불과하고 손실흡수능력도 손실을 전액 보전할 수 있는 100%를 크게 상회하는 189%에 달한다"면서 "시중은행과 대형 저축은행의 경우 PF대출 부실화가 경영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연구소는 또 "자산 1조원 이상 대형 저축은행도 고정 이하 여신비율이 15.0% 이하로 양호한 편"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중소형 저축은행의 경우 재무 건전성이 취약해 PF 대출 부실화에 따른 대응능력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저축은행 PF 대출 부도 발생가능성과 확산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부동산금융의 부실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소는 "현 시점에서 실제 PF 대출 부도율은 20% 미만에 그칠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6월말 현재 저축은행 PF 대출 연체율은 14.3%로 전액 부도가 나더라도 부도율은 15%를 넘지 않는다"며 이는 대손충당금과 토지담보 등으로 자체적인 충격 흡수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 국내 부동산금융은 미국과 달리 유동화 비율이 낮고 단순한 1차 유동화에 그치고 있어 부실이 확산될 가능성도 희박하다고 분석했다.
가계신용 부실화의 경우, 2007년 4분기 이후 '가계신용위험지수'가 다시 상승하고 있어 경계할 필요는 있지만, 지나친 위기의식에 빠질 필요는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LTV(주택담보인정비율)와 DTI(총부채상환비율) 등 엄격한 대출규제, 약정만기의 장기화 추세 등을 감안할 때 가계대출 부실화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삼성경제연구소 유정석 수석연구원은 "부동산금융의 부실화는 일부 중소형 저축은행과 건설사에 한정돼 있어 전 금융계나 가계로 확산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면서 "그러나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으로 인해 신용경색이 장기화될 가능성은 높아 금융시장 내 전염효과를 차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 연구원은 또 "부동산금융 불안의 근본 원인인 부동산경기가 안정될 수 있도록 정부는 건설자원배분의 왜곡을 야기하는 과도한 수요 및 공급 억제책을 개선해야 하며, 업계도 대출심사기준 강화 등을 통한 부동산 PF 대출의 건전성 제고, 주택담보대출 만기의 장기화 등을 통한 가계대출의 안정성 제고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