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경제에도 'S(스태그플레이션)의 공포'가 엄습하고 있다.

경기 침체와 물가 급등이란 먹구름이 동시에 몰려들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유럽중앙은행(ECB)은 3일(현지시간) 정례 금융통화정책 회의에서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여 경기 하강에 대한 우려를 높이고 있다.

유럽 경제의 불황 징후는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2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덴마크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 분기 대비 0.6% 감소했다.

앞서 4분기에도 마이너스 0.2%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경기 침체로 정의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덴마크는 '침체'란 공식 진단을 받은 첫 유럽연합(EU) 국가가 된 셈이다.

덴마크의 뒤를 이어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아일랜드 등이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은 국가들로 지목되고 있다.

영국과 프랑스의 성장도 정체 상태다.

문제는 경기 침체가 유가와 곡물가 급등에 따른 기록적인 인플레이션과 맞물려 있다는 점이다.

유로존(유로 통화를 사용하는 국가들) 15개국의 지난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4.0%에 달했다.

1999년 EU 출범 이후 최고치다.

장 클로드 트리셰 ECB 총재는 최근 "중앙은행이 강력하게 행동하지 않으면 인플레이션이 폭발할 위험이 있다"며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금리 인상은 수요를 더욱 위축시켜 불가피하게 경기 악화란 부작용을 수반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ECB가 금리를 4.25%로 올리면 미국 기준금리(2.0%)와의 격차는 2.25%포인트로 벌어진다.

이 경우 달러 약세 현상을 심화시키고 가뜩이나 불안한 원유시장에도 파장을 몰고 올 게 뻔하다.

ECB 금리 인상이 '달러 약세→국제유가 상승→글로벌 인플레이션 심화→주가 하락→글로벌 경기침체 가속화'란 세계 경제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유병연 기자 yoob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