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장관회의가 향후 10년간 세계 인터넷 경제의 골격을 규정하게 될 '서울선언문'을 채택한 뒤 어제 막을 내렸다.

42개국 장관들의 공동선언 형식으로 채택된 서울선언문은 1998년 캐나다 오타와에서 전자상거래를 주제로 한 장관회의 이후 10년 만에 세계 인터넷 경제의 새 방향을 밝힌 것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지난 98년에는 인터넷 경제가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 속에 개인정보 보호, 보안, 과세, 소비자정책 등 기초적인 방향을 다룬 것이라면 이번 서울선언문은 한층 광범위하고 다양한 주제를 포괄했다.

우선 인터넷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점에 전 회원국들이 공감(共感)했다.

또한 인터넷 경제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네트워크,기기,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을 촉진하는 한편, 인터넷을 이용한 창의적인 활동이 증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지도 담았다.

동시에 서울선언문은 극복해야 할 과제들도 제시했다.

인터넷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의 신뢰를 제고하기 위한 국제공조에 나서고,개인간ㆍ국가간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노력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한마디로 인터넷의 새로운 기회와 함께 그 전제조건에 대한 균형잡힌 관점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함께 주목해 볼 것은 융합시대에 정부의 규제완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OECD 정책권고문이다.

인터넷,TV,전화 등 다양한 서비스들이 하나의 플랫폼상에서 융합되면서 기존 규제의 유지가 바람직한지 점검해 봐야 한다는 것이 골자(骨子)다.

IPTV 등 융합에 더딘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 크다.

그 외 기업의 투자유인책을 강화하고, 인터넷 경제로 파생되는 해킹ㆍ신원도용ㆍ사생활 침해 등에 적극 대응해 신뢰할 수 있는 인터넷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도 절실히 와닿는다.

OECD 서울선언문과 권고문은 각국의 인터넷 정책을 이끌어 갈 지침서가 될 전망이다.

누가 더 빨리 그 쪽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IT강국의 구도가 달라질 것은 물론이다.

정부는 이번 서울회의를 토대로 IT의 새로운 비전과 목표, 그리고 실천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