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사정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어 보통 걱정스러운 상황이 아니다.

최근 발표된 통계청의 4월 고용동향에서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겨우 19만1000명 늘어나는 데 그쳐 3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취업자 증가가 20만명에도 못미쳤다.

이런 실정에서 지난해 20,30대 임금근로자 839만2000명 가운데 38.8%인 325만8000명이 임시 또는 일용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극심한 구직난 속에서 그나마 어렵게 일자리를 얻은 젊은층 10명 중 4명의 고용안정성 또한 취약한 상태이고 보면 고용의 양과 질 모두에서 심각한 문제가 드러나고 있음에 다름아니다.

더욱이 전체 임금근로자의 78%를 차지하는 중소기업들은 오는 7월과 내년 7월 두 차례에 걸쳐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될 비정규직보호법 시행을 앞두고 임시 일용직 근로자들을 미리 해고하고 신규 채용을 꺼리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중기발 고용대란마저 우려(憂慮)되고 있다.

이대로 가다가는 고용부진이 만성화.고착화할 게 불을 보듯 뻔한 형편이다.

이러한 고용 악화가 우리 경제에 엄청난 부담을 안겨줄 것은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

특히 경상수지는 적자행진을 이어가고 있고,물가도 계속 치솟으면서 경기선행지수 등 거의 모든 경제지표가 적신호를 보이고 있는 마당이다.

고용감소와 소비위축에 따른 악순환(惡循環)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설사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고용이 나아질 가능성이 낮다는 점이다.

실제로 KDI는 인구고령화로 장기적인 취업자 수 감소는 불가피하다며 2012년에는 월 취업자 증가 수가 15만명까지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게다가 미국의 소비심리가 1980년 이후 28년 만에 최악의 수준으로 떨어지고,국제유가는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경제환경이 악화되고 있어 기업들이 인력채용에 나서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지금은 어느 때보다 고용확대를 위한 다각적인 대책수립이 다급한 마당이다.

그럼에도 정부 출범 초기부터 잇따른 국정혼선으로 인한 정국불안으로 일자리창출 정책은 갈팡질팡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물론 정치권도 국정의 우선 순위가 어디에 있는지부터 제대로 따져보고 일자리 창출에 전념하지 않으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