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가 천정부지로 솟구치고 있다.

유가 전망치에 대해서도 이제는 관련 책임자와 전망기관들이 배럴당 200달러 가능성을 거리낌 없이 언급할 정도로 '초강세장'(hyper-bull market)인 것이 요즘 원유시장의 분위기다.

최근 유가가 왜 급등하고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해선 갈수록 심해지는 국제상품시장의 금융화 현상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기관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현재 금융과 실물 간의 크기는 3 대 1 정도로 금융부문이 압도적으로 크다.

이런 상황에서는 유가 상승을 단순히 경기적인 측면에서의 수급 요인에 의해서만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글로벌 '쩐의 전쟁'으로 비유되기도 하는 최근의 국제 간 자금흐름은 헤지펀드로 상징되는 선진국 자금과 국부펀드로 대변되는 개도국 자금 간 전쟁으로 요약된다.

이미 규모면에서는 국부펀드가 헤지펀드를 추월하고 있다.

또 자금 운용에 있어선 선진국 자금이 높은 수익을 좇아 잉여자금은 사모펀드 형태로,잉여자금이 없을 때는 금리차를 이용한 캐리자금 형태로 개도국에 유입된다.

반면 개도국 자금은 특성상 수익성보다 안정성을 중시해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평가받는 미국의 달러표시 자산을 비롯한 선진국 금융자산에 투자해 왔다.

지금까지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이 안정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도 선진국 자금이 유출되더라도 이를 개도국 자금이 메워주는 국제 간 자금흐름상의 균형 메커니즘이 잘 유지돼 왔기 때문이다.

문제는 국제수지 불균형과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로 선진국 금융자산의 안정성이 떨어지면서 국제 간 자금흐름상의 균형 메커니즘이 흐트러지고 있는 점이다.

이 때문에 개도국 자금의 투자대상이 선진국 금융자산에서 실물자산으로 투자 방향을 옮기는 추세가 갈수록 뚜렷하다.

그중에서 개도국 자금이 선진국의 항만시설,에너지와 같은 기간산업을 인수하기 시작하면서 선진국들은 국민경제 안보상에 위협을 느끼고 있다.

이 점이 2차 대전 이후 세계화로 상징되는 신자유주의를 외쳐왔던 선진국들이 이제는 경제 현안을 자국의 주권 확보 차원에서 바라보는 '경제 애국주의'를 낳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이다.

이런 현상은 막바지로 치닫고 있는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 과정에서 확연히 드러났다.

그동안 세계경제를 주도해 왔던 선진국들이 자국의 이익을 우선하는 경제 애국주의로 나아감에 따라 자원보유국을 중심으로 한 국수주의 움직임이 심해지고 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 간 결속력은 종전보다 확실히 강해졌다.

천연가스를 매개로 한 제2의 OPEC 창설 논의도 일고 있다.

또 농산물 수출국들의 결속 움직임도 강화되는 추세다.

최근처럼 유가 120달러 이상의 국면은 현 달러 가치로 환산된 1980년 초의 수준을 웃돌고 있어 이제는 글로벌 증시에 부담이 되고 있다.

앞으로 유가는 상승 속도가 너무 빠른 '슈퍼 스파이크',상승 기간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슈퍼 사이클' 국면이 예상된다.

유가뿐 아니라 모든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는 '퍼펙트 스톰' 현상도 예상돼 글로벌 증시에 미치는 충격은 의외로 클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유가로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어렵게 마련된 글로벌 증시의 상승세가 꺾이지 않는다 하더라도 앞으로는 상하 변동성이 커지면서 당초 기대보다 상승 탄력이 줄어드는 이른바 '1차 맴돌이(조정) 국면'에 들어가지 않을까 우려된다.

객원 논설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