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의 24일 고위공직자 103명에 대한 재산 신고내역을 공개 결과, 이명박 정부의 고위공직자들이 참여정부 공직자들에 비해 월등하게 `부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명박 정부의 국무위원급 이상 고위직들은 거의 대부분 서울의 강남과 목동 등 요지에 최소 1건 이상의 알짜 부동산을 보유하면서 적지 않은 규모의 금융자산까지 갖추는 등 전형적인 `포트폴리오형 자산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줬다.

◇ 103명 평균재산 22억8천만원..참여정부는 11억여원 = 최다 자산가인 이명박 대통령을 포함한 공개 대상자 103명의 재산 평균액은 22억8천296만7천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대통령을 뺀 102명의 재산 평균액은 19억5천792만3천원이다.

이는 본인과 배우자의 재산만을 기준으로 한 평균치라는 점에서 직계 존비속의 재산까지 합하면 20억원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특히 이번 공개대상자 가운데 적지 않은 수인 25명(24.3%)이 직계 존비속의 재산을 공개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평균재산은 크게 늘어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에 비해 지난 3월28일 공개된 참여정부 중앙부처 고위공직자 623명과 시.도 단체장 및 광역의원, 교육감 및 교육위원 1천116명 등 1천739명의 재산변동 신고내역에 따르면 본인과 배우자를 포함한 가구당 평균 재산은 약 11억8천만원으로 집계됐다.

당시 이들의 재산이 2006년 12월말에 비해 평균 14.2% 많은 1억5천854만4천원이 늘어난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명박 정부에 포진한 고위공직자들에 비해선 평균 8억원이나 적은 수치였다.

◇ 대통령실.국무위원 평균 30억 이상 자산가 = 두 정부의 `대통령실'과 `국무위원'들의 재산만 살펴봐도 이명박 정부의 `비교우위'가 확연하게 드러난다.

이 대통령을 비롯해 류우익 대통령실장과 수석비서관 등 대통령실 11명의 평균 재산은 64억5천770만원이다.

수백억대의 재산가인 이 대통령을 제외할 경우 10명의 평균 재산이 크게 줄어들었지만 그래도 35억5천610만원에 달했다.

반면 지난 4월15일 공개된 참여정부 고위공직자 퇴직일 당시 재산규모는 노무현 당시 대통령을 포함한 문재인 비서실장, 각 수석비서관 등 10명의 평균재산이 13억8천760만원에 그쳤다.

이명박 정부 고위공직자들의 평균재산과 비교할 때 대략 3분의 1이 조금 넘는 수준이다.

두 대통령의 재산은 이 대통령이 354억7천401만7천원인 반면 노 전 대통령은 금융부채 4억6천700만원을 포함해 불과 9억7천224만2천원으로 비교가 안되는 형편이다.

이와 함께 한승수 국무총리를 포함한 이명박 정부의 국무위원 16명의 평균재산은 31억3천800여만원으로 집계된 반면 참여정부 마지막 국무위원의 평균재산은 20억8천860만원 수준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다만 이명박 정부의 초대내각 국무총리인 한승수 총리의 재산은 21억1천341만원인데 비해 참여정부 마지막 총리인 한덕수 총리는 32억8천308만1천원으로 두 정부의 일반적인 비교추세와는 반대였다.

◇ 부동산.금융자산.회원권 고루 갖춰 = 먼저 이 대통령은 서울 강남.서초구에 건물 4채와 종로구에 전세임차권(2개) 등 건물(368억여원), 김윤옥 여사 명의의 서울 강남구 논현동 토지(1필지.12억여원) 등 부동산과 함께 본인과 가족명의 예금 2억1천여만원, 동서양화 각 1점, 골프장과 헬스클럽 회원권 3개, 다이아몬드 등 비교적 다양하게 재산을 보유했다.

이종찬 민정수석비서관은 34억여원의 재산 가운데 건물은 14억여원, 예금은 16억여원 등이었고, 한승수 총리는 고향인 강원 춘천에 토지 11필지(4억8천여만원), 서울 서초구와 춘천에 건물 2채(12억여원), 예금(3억8천여만원) 등으로 이들은 주로 전통적인 재산형태인 부동산과 금융자산에 집중했다.

특히 `올드보이'로 불렸던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체 31억여원의 재산 가운데 예금은 3억원대에 그친 반면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아파트 가격만 21억여원으로 신고해 올드보이의 면모를 보여줬다.

반면 김필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은 건물(16억여원), 예금(7억9천여만원), 유가증권(4억여원), 회원권(1억8천여만원) 등 재산이 고르게 분포했고, 김중수 경제수석비서관도 서울 서초.강남구 소재 건물 3채(6억여원), 예금(약 14억원), 보석(700만원), 그림 2점(5천500만원), 헬스클럽 회원권 2개(1천750만원) 등으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또 김영철 국무총리실 사무차장은 부동산(22억여원)과 함께 예금도 7억여원에 달했고, 남부컨트리클럽을 비롯해 각종 회원권을 4개나 소유했다.

김회선 국가정보원 2차장도 63억여원의 재산 가운데 건물은 15억여원, 예금은 33억여원, 본인과 배우자 명의 회원권 5개 10억여원의 재산을 신고, 포트폴리오형 자산가였다.

이와 달리 이창용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6억여원의 재산 가운데 토지(16필지)만 17억여원으로 부동산에 집중했고, 박인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도 부동산(11필지)에만 40억원이 넘는 재산을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 불성실 신고 적발땐 징계 등 조치 =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번에 신고된 공개대상자의 재산내역에 대해 7월말까지 금융기관이나 행정기관 공부 조회 등을 통해 심사할 계획이다.

심사 결과, 불성실 신고사실이 발견되면 경중에 따라 경고, 과태료 부과, 해임.징계 요구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되며, 공직을 이용한 부정한 재산증식 의혹이 있는 공직자에 대해서는 법무부장관에게 조사를 의뢰하게 된다.

위원회 관계자는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공직윤리 확립을 위해 재산등록 및 심사 제도를 더욱 엄정하게 운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위원회는 지난해까지 고위공직자의 피부양자가 아닌 직계 존비속은 재산 고지를 거부한 뒤 사후심사를 받도록 했으나 올해부터 '사전허가제'로 변경, 이번 신고대상자 103명 가운데 25명에 대해서는 직계 존비속의 재산 고지를 거부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연합뉴스) 이강원 기자 gija007@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