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시장 동향이 참으로 걱정스럽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전년 같은 달에 비해 18만여명이 늘어나는데 그쳐 3년1개월 만의 최저치로 떨어졌다.

정부 목표치(35만명)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이고 보면 고용 사정이 얼마나 악화돼 있는지 여실히 드러난다.

내용면에서도 희망적 부분을 찾기 어렵다.

농어업 도소매 등의 일자리가 대폭 줄었고 제조업 건설업 등에서도 감소세가 이어졌다.

20대 취업자가 8만7000명이나 감소해 심각한 청년실업도 개선 기미가 없다.

특히 임시근로자 일용근로자 등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일자리가 크게 줄어들어 서민층의 고통이 말이 아니다.

1분기 경제성장률이 5%대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推定)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자리 사정이 이처럼 나빠진 것은 '고용없는 성장'이 구조화되고 있는 점이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일 것이다.

대내외 여건 악화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제조업에서 일자리가 오히려 감소한 것만 봐도 이런 점은 단적으로 드러난다.

게다가 지난해 7월 비정규직 보호법이 시행되면서 기업들이 이들의 고용을 꺼려 일자리 난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따라서 정부의 대책 또한 이런 측면을 충분히 감안해 마련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특히 서비스업의 경우는 어려운 가운데서도 꾸준히 일자리가 늘고 있는 상황이고 보면 획기적인 서비스업 육성책을 마련해 고용시장 호전의 돌파구를 찾을 필요가 있다고 본다.

물론 정부도 내수경기 진작을 위해 적극적 규제완화와 감세(減稅),재정지출 확대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자칫 경기부양 효과도 없으면서 물가만 자극할 우려도 없지 않은 만큼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일자리 증가로 연결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비정규직을 보호하기는커녕 오히려 내쫓는 결과를 초래한 비정규직보호법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오는 7월로 예정된 종업원 100~299명 규모의 중소사업장에 대한 비정규직보호법 확대적용을 일정기간 유예하거나,정규직 전환 의무 기간을 2년에서 3년으로 연장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기업들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더많은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거리로 내몰리는 일은 막아야 한다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