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이름으로 시짱인 티베트에서 지난 15일 유혈시위가 일어났다.

공교롭게도 중국의 새로운 지도부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ㆍ국회)에서 선출되고 있을 때였다.

문득 작년 전인대의 마지막 날이 생각났다.

원자바오 총리가 전인대를 마무리하는 외신기자 회견을 하고 있을 당시 한 서양기자가 티베트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 문제를 입에 올렸다.

원 총리는 원론적인 답변을 했지만,그 다음날 중국 관영 신화통신 등은 "서방 언론인들은 중국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며 전날 달라이 라마에 관련된 질문을 원색적으로 비판했다.

'중국에 대한 몰이해'라는 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다.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라는 얘기를 기회있을 때마다 강조하는 중국 정부는 '중국의 특색'을 인정해주길 바라는 것 같다.

일견 옳은 주장이다.

한 나라의 고유한 문화와 제도를 존중하느냐 그렇지 못하느냐는 항상 갈등의 원인이다.

중국이 미국에 대해서 거품을 물고 지적하는 것도 소위 아메리칸 스탠더드를 보편적 규범으로 적용하지 말라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중국이 티베트 문제에 대해서 이런 원칙을 적용했는지 궁금하다.

티베트인들이 그들의 정신적 지주인 지도자(달라이 라마)를 스스로 결정하자 이를 거부하고 대신 중국 정부가 지명한 것만 봐도 그렇다.

엄격한 통제로 잘 드러나진 않지만 티베트의 인권문제가 항상 도마 위에 오르는 것을 보면 티베트에선 중국만의 기준이 적용되는 게 아닌가 싶다.

물론 국제법이 인정한 영토문제는 왈가왈부 대상이 아니다.

그러나 적어도 중국 내에서 적용하는 원칙과 중국 밖에서 인정받고 싶은 원칙은 같아야 한다.

중국 정부는 17일 긴급 외신 기자회견을 열고 티베트의 소요사태는 불순분자들의 소행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들을 법대로 처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언론이 침묵하고 전화와 인터넷마저 끊겨 정확한 상황은 알 수가 없지만 유혈충돌이 지속되고 있다는 소문도 있다.

탱크와 무장병력을 동원한 대증적(對症的) 요법이 아니라 근원적인 해결책을 찾는 게 중국이 국제사회의 리더로 인정받을 수 있는 길이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