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서울시가 디자인을 차세대 경쟁력의 핵심으로 삼고 도시디자인 향상을 위해 공공 디자인 정비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 정책을 일선에서 담당할 지자체들은 정책에 발 맞추기 숨가빠 보입니다. 이주은 기자입니다. 기자> 시내 공공 쓰레기통 디자인부터 거리 간판, 건축물까지 모두 디자인해 서울을 세계적 디자인 명소로 거듭나게 하겠단 서울시. 하지만 소프트웨어를 직접 바꾸고 가꿔야 할 자치구들에겐 쉽지 않은 과제입니다. 무엇보다 가장 큰 걸림돌은 예산. 서울시는 지난해 시내 10개 디자인 시범거리를 선정해 자치구별로 시비를 지원하겠다고 나섰지만 매칭펀드 형태로 지원돼 자치구에서도 사업비의 10%를 충당해야 할 형편입니다. 비용도 비용이지만 일선 지자체 담당자들은 디자인 업무 자체가 부서간, 자치구간, 공공기관간 복합적이고 유기적으로 연동돼 추진 자체가 쉽지 않다고 얘기합니다. “연관되는 부서들이 굉장히 많은데, 교통신호등이나 표지판 같은 것은 경찰청과 협의를 해야 하는 데 경찰청에서는 보는 시각은 안전이나 교통의 흐름을 우선시하는 거고, 저희는 디자인이나 보행자의 관점에서 접근하다 보니 상충되는 부분이 있고 ” 또 각 정부 부처와 지자체들이 앞다퉈 디자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예산 지원 부터 심의까지 복잡한 상황입니다. 행자부의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건교부의 '아름다운 거리조성사업', 문화관광부, 서울시 등 도시 디자인 관련 지원 기관도 혼재돼 있습니다. 서울시는 이런 가운데 올해 시내 전봇대를 모두 지중화하는 사업을 펼치겠다고 밝혔습니다. 강남구 언주로 지중화 사업에만 소요되는 예산이 173억원. 전선 지중화 사업은 기본적으로 한전과 지자체가 절반씩 예산을 부담해 진행되고 있습니다. 앞다퉈 디자인 코리아를 외치고 있는 정부와 지자체. 하지만 공공디자인 개념의 정착부터 추진까지 넘어야할 산은 아직 많아 보입니다. WOW TV-NEWS 이주은입니다. 이주은기자 jooeunwi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