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의 택지공급 및 확보계획에 관심이 쏠리는 것은 그동안 정권이 바뀔 때마다 택지를 확보하기 위한 정부 계획이 온탕과 냉탕을 오가는 식으로 좌충우돌했기 때문이다.

노태우 정부 때는 수도권에 200만가구를 공급하기 위해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 건설에 매달렸다.이를 통해 집값은 잡았지만,건자재 파동,교통란,청약과열 등의 부작용으로 시달려야 했다.



이에 따라 바통을 이어받은 김영삼 정부 때는 "신도시의 '신'자도 꺼내지 말라"는 YS의 엄포에 눌려 신도시 대신 준농림지 개발을 통해 택지를 확보했다.그러나 이는 용인 등의 난개발을 부추겨 심각한 후유증을 낳았다.이어 김대중 정부는 난개발을 피하겠다며 재건축 및 직장주택조합 소형주택 의무건설 폐지,분양가 자율화 등 무차별적인 규제완화를 통한 주택건설 확대를 추진했다.이 같은 규제완화에는 분양권 전매를 허용하고 민영주택 재당첨제한기간 폐지 등이 포함돼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이 급등하는 등 부동산가격 버블의 단초를 제공하는 결과를 가져왔다.또 노무현 정부는 초기에 강남 재건축 등의 투기를 잡겠다며 종합부동산세 등 세금까지 동원한 과잉규제 정책을 밀어붙였고,집값이 급등하자 후반기엔 신도시로 다시 유턴했다.그러나 이 같은 정책은 수요 위축으로 시장에서 거래가 거의 끊기는 현상과 함께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물량이 급증하는 후유증을 낳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