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부문의 엄청난 성장이 자본주의라는 세계 경제의 기본질서를 재구축하고 있다.

이른바 '신 자본주의(The New Capitalism)'의 탄생이다.

파이낸셜타임스가 명명한 '신 자본주의'는 '금융 자본주의'라는 말로 대체해도 큰 무리가 없다.

파생상품을 포함한 금융자산의 폭발적인 증가와 세계를 가로지르는 활발한 금융거래로 인해 자본주의를 움직이는 작동원리가 과거와 달라졌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이런 '신 자본주의'를 '돌연변이'라고 표현했다.

누구도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자본주의가 갑자기 탈바꿈했다는 뜻이다.

신 자본주의가 생명력을 얻게 된 배경은 복합적이다.

그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최근 20~30년새 각국 정부가 추진한 금융부문의 규제완화.20세기 중반만 해도 각국의 금융시장은 촘촘하게 짜여진 규제로 숨을 쉬기 힘들었다.

은행의 예금이자율에 상한선을 둔 규제(Regulation Q)가 대표적.이밖에 기업마다 지분을 취득할 수 있는 한도가 정해져 있었고 외국인에게는 이 규정이 더욱 엄격하게 적용됐다.

이런 규제는 1980년대를 지나면서 도미노처럼 빠르게 무너졌다.

은행 보험 증권 등을 가로지르던 칸막이도 없어졌고 외국인 지분한도 역시 완화됐다.

고정환율제에 묶여 있던 외환시장도 자유를 얻었다.

금융시장이 날개를 펼 공간이 확보된 것이다.

노벨상 수상자인 마이런 숄즈와 피셔 블랙의 '파생상품 가격결정 모델'은 기지개를 켜는 금융시장에 날개를 달았다.

파생상품에 합리적인 가격표가 붙여지면서 헤지펀드와 사모펀드가 성장할 토양이 마련됐다.

여기에 복잡한 파생상품의 손익 계산을 순식간에 해치우는 컴퓨터 기술이 보태졌다.

국제 금융시장이 '24시간 운영체제'로 바뀐 순간이다.

중앙은행을 통한 안정적인 유동성 공급도 금융시장에 생기를 돌게 하는 혈액이 됐다.


단기적으로는 전 세계적인 저금리 현상이 금융시장의 팽창을 부채질했다.

'신 자본주의'는 각 경제주체들의 행동양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손 쉽게 투자하고 수월하게 돈을 빌릴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면서 가계 부채는 빠르게 증가했다.

영국의 가계부채 규모는 1994년 GDP의 108% 수준에서 2005년엔 159%로 늘어났다.

기업은 경영권 방어가 한층 힘들어졌다.

공격적인 M&A 전략을 구사하는 헤지펀드와 사모펀드가 대폭 늘어났기 때문이다.

외국인 주주들의 발언권도 강화됐다.

새로운 자본주의는 새로운 논란을 낳고 있다.

국제 금융시장의 리스크에 대한 시각차가 대표적.비관론자들은 "통제할 수 없는 자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그 어느때보다 국제 금융시장의 리스크가 높아졌다"고 주장한다.

반면 낙관론자들은 오히려 리스크가 줄었다는 쪽이다.

시장 원리에 충실하게 돈이 움직임에 따라 금융시장의 충격 흡수력이 한층 높아졌다는 의견이다.

이들은 2000년 글로벌 인터넷 버블 붕괴와 2001년 9·11테러라는 전대미문의 충격에도 대형 은행들이 대부분 살아남았다는 점을 낙관론의 근거로 꼽는다.

낙관론자들은 또 '신 자본주의'가 자본의 효율성을 높였다고 평가한다.

조금이라도 비효율적인 시장은 국제 금융자본의 공격을 피하기 어렵게 된 결과다.

전 세계적으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신 자본주의가 큰 기여를 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반대론자들은 신 자본주의가 일부 투기세력의 배만 불렸다고 비판한다.

자본의 효율성을 빙자해 소득의 극심한 격차를 정당화하고 있다는 논리다.

이로 인해 일부 국가에서는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대다수 유권자를 등에 업고 금융시장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현재의 인류는 한번도 검증되지 않은 미지의 경제 체제 속에 살고 있다"고 진단했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