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태 한국은행 총재가 어제 "시장성 수신 증가세가 이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윤증현 금감위원장도 16일 이례적으로 은행장 회의를 소집해 과도한 대출경쟁과 자금 쏠림현상에 대해 경고했다.

최근 들어 은행권에서 나타나고 있는 중소기업대출 급증과 카드영업 경쟁 심화,경쟁적 금리인상 등이 금융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저해(沮害)하고 잠재적 경제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를 강조한 것이다.

물론 경기회복 조짐에 따라 중소기업대출이 늘어나는 것을 결코 잘못된 일이라고 볼 수는 없다.

오히려 반겨야 할 사안이다.

그러나 지나치게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데다 그 원인이 은행 간 외형 부풀리기 경쟁에 있는 것이라면 이는 우려할 만한 일이다.

특히 대출심사나 위험회피 노력을 게을리 한다면 이는 또 다른 부실과 금융위기를 조장하는 것에 불과하다.

카드영업 확장도 그렇다.

카드 본래의 목적이라 할 수 있는 신용판매 결제기능 위주의 영업보다는 현금서비스 등 카드를 통한 대출서비스 확대에 치중하는 것은 자칫 큰 화를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

세계적 유동성 과잉상태에서 밀려드는 여유자금을 적절히 운용할 대상을 찾지 못하고 있는 은행들의 고충도 꽤 크다고 우리는 생각한다.

은행장들이 은행에 대한 각종 중복규제를 과감히 풀어주고 해외지점 신설 등을 쉽게 해달라고 건의한 것도 그런 맥락이다. 영업할 수 있는 시장의 범위를 넓혀달라는 뜻이다.

이는 금융당국이 새겨 듣고 해결해 주어야 할 일이다.

또 은행들의 몸집불리기는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본다.

국제금융회사들의 수준에 비춰보면 국내 은행들은 영세하기 짝이 없는 수준이다.

이래가지고는 해외시장에서의 경쟁은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해서 부작용을 낳을 게 뻔한 과당경쟁(過當競爭)을 하는 것은 특정 은행의 문제가 아니라 전체 금융시장과 국가경제를 불안으로 몰아넣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지나친 경쟁은 삼가야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