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아파트價 59%, 코스피지수 134% 상승

참여정부 출범 후 지난 4년여 간 넘쳐나는 유동성과 기업의 투자기피로 아파트와 주식 등의 자산가격이 동반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정부 집권 기간 수도권 신도시 아파트 가격은 60% 가까이 상승했으며 코스피지수도 2.3배로 뛰어 시가총액이 460조여 원이나 불어났다.

25일 증권선물거래소와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참여정부 출범일인 2003년 2월25일부터 지난 23일까지 4년1개월 동안 전국의 아파트 가격은 평균 19.64% 상승했으며, 특히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39.42%나 치솟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신도시 아파트값 상승률이 59.1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서울(42.03%), 경기(37.59%), 충남(32.07%), 대전(21.6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아파트별로는 신도시인 분당 정자동의 주상복합 아파트 파크뷰 95평형이 8억8천만(하한가)~9억원(상한가)에서 35억(하한가)~40억원(상한가)로 평균 28억5천600만원이나 뛰어 가장 큰 폭 올랐으며 서울 강남구 도곡동의 타워팰리스1차 101평형도 19억~22억원에서 45억~50억원으로 평균 27억원 가량 급등했다.

주식시장에서는 코스피지수가 참여정부 출범 직전 일인 2003년 2월24일 616.29에서 23일 현재 1,447.38로 134.85% 상승해 253조33억원이던 시가총액이 710조8천895억원으로 무려 457조8천862억원이나 늘었다.

코스닥지수 역시 438.80에서 640.89로 46.06%가 올라 시가총액이 38조2천451억원에서 78조5천207억원으로 40조2천756억원 증가했다.

종목별로는 현대미포조선[010620]의 주가가 4천18원에서 15만8천500원으로 상승해 무려 3천844.75%의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VGX인터(2천243.75%), 태웅(2천461.95%), 삼원정밀금속(2천385.71%), 삼영엠텍(2천59.57%), 지엔텍(2천41.66%) 등도 대박주 대열에 들었다.

전문가들은 현 정부하에서 아파트와 주식가격이 동반 급등한 것은 초저금리로 인한 유동성 증가와 기업의 투자기피, 적절하지 못한 부동산 정책 등의 때문으로 풀이했다.

적정 수준보다 낮은 초저금리로 인해 시중의 연간 유동성 증가율은 2003년 4%대에서 작년 말 10.4% 수준까지 높아졌다.

홍성국 대우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전 세계적인 저금리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유동성이 풍부해져 자산 가격이 급등했으며, 당국이 주택정책에서 1인 가구 증가 등의 현상을 간과하면서 수요를 정확히 예측하지 못해 공급이 오히려 줄어든 데도 원인이 있다"고 말했다.

또 성장을 위한 설비 투자 노력을 회피한 채 현금을 쌓아 놓고 자사주 취득 등의 주가 부양에만 치중하고 있는 기업들의 문화도 유동성 급증과 자산 가격 급등을 초래하는데 일조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12월 결산 상장사 기준으로 기업들의 현금 유보율은 2005년 말 569.71%에서 작년 9월 말 현재 609.34%로 높아졌다.

또 12월 결산 상장사들의 최근 4년간 자사주 취득 규모도 25조8천283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익 대한투자증권 부사장은 "기업들이 투자를 기피하는 대신 현금을 쌓아 놓고 있고 은행들은 저조한 기업 대출 실적을 메우기 위해 가계대출을 늘리면서 집값 등의 자산 가격이 오르는 효과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신성호 동부증권 상무는 "잉여자금이 기업 투자로 흡수되지 못함에 따라 자금 부동화 현상이 심화됐다"며 "기업들이 투자 대신 주가 방어를 위한 자사주 취득에 급급하다 보니 청년실업 증가 등의 또 다른 부작용도 커졌다"고 진단했다.

대투증권의 김 부사장은 그러나 "참여정부가 집값 잡기 등을 이유로 갑작스러운 긴축정책을 쓰면 일본처럼 자산가격 버블이 일순간 붕괴될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유택형 윤선희 김중배 기자 apex2000@yna.co.krindigo@yna.co.krjb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