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금융지주의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와 우리은행이 성과급 지급을 둘러싸고 충돌했습니다. 그 영향과 해법을 취재기자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최진욱 기자, 어제 예금보험공사가 우리은행 경영진에게 경고 조치를 내렸죠?

[기자]

네, 예금보험위원회는 어제 아침 회의를 열어서 올해 4월 우리은행의 특별 격려금 지급과 관련해 황영기 우리금융지주 회장 겸 우리은행장 등 경영진 2명을 경고하고, 임원 4명에 대해서는 은행이 자체 징계하도록 했습니다.

황영기 행장을 비롯해 예보위원회의 징계를 받은 경영진은 향후 성과급의 15%가 삭감됩니다. 또 이미 지급된 특별격려금은 앞으로 지급할 성과급에서 차감될 것으로 보입니다.

예보는 우리은행이 3월 27일 임직원에게 초과 성과급 474억원에 이어서 4월 3일 특별격려금 395억원을 추가로 지급해 경영정상화 이행약정(MOU)을 위반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앵커]

여기에 대해서 우리금융은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까?

[기자]

표면적으로는 대주주인 예보의 결정을 수용한다는 입장이지만 속내는 그런것 같지 않습니다.

최근에 예보와 우리금융 사람들을 접촉해보면 서로에 대한 감정적 앙금이 심하게 쌓여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정도인데요.

일단 우리금융은 내년 3월 임기만료를 앞두고 있는 황 회장의 입장을 고려해 반발하는듯한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우리은행 노조를 중심으로 그동안 줄기차게 주장해온 MOU 체결과 점검의 해제 문제를 더욱 강하게 주장할 것으로 보여서 양측의 갈등은 언제든지 재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앵커]

금융권의 반응은 어떻게 나오고 있나요?

[기자]

전반적으로는 예보가 다소 지나친 결정을 내린게 아니냐는 의견이 우세합니다.

우리금융과 지난 2001년에 맺은 MOU에만 매달려서 그동안의 경영환경 변화나 3년여간 황영기 회장의 성과를 도외시 했다는거죠.

반면 황 회장의 톡톡튀는 경영스타일이 화를 불렀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 자율경영이 필요하다면 대주주를 적극적으로 설득하거나 긴밀히 협조해서 돌파할 일이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국내 2위권의 대형금융회사의 미래를 둘러싸고 협력해야할 양측이 서로의 입장만을 내세운채 반목하는 모습은 적절치 않았다는데는 이견이 많지 않은 모습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앞으로 우리금융의 민영화 일정은 어떻게 되는것입니까?

[기자]

법률상 내년 3월까지, 최종적으로는 여기에 1년을 연장해서 2008년 3월까지는 정부지분을 매각해야만 합니다.

문제는 민영화에 대해 사공이 너무 많다는 점입니다.

정부와 예보는 공적자금회수 극대화와 토종자본론을 내세우는 반면 정치권에서는 법률을 개정해서라도 매각시한을 없애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습니다.

우리금융은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는 않지만 이번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경영간섭을 가능한 빨리 벗어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또 학계에서는 과거 포스코와 한전의 민영화 방식이었던 국민주 방식으로 우리금융을 국민의 기업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을 하기도 합니다.

매듭을 풀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우리금융의 미래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내는것이 중요하지만 성과급 갈등에서 볼 수 있듯이 이게 쉬워 보이지 않는다는게 문제입니다.

정부는 12조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해서 부실로 허덕이는 우리금융지주를 살려냈고, 임직원들은 뼈를 깎는 노력으로 부실을 털어내고 우량회사로 변신시키는데 성공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예보와 우리금융이 무엇때문에 반목해야하는지 국민들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민영화의 일정이 있는만큼 가장 효율적이고 투명한 방법으로 국민경제와 금융시장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민영화를 추진하는게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앵커]

최진욱 기자와 함께 우리금융의 민영화 일정과 걸림돌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최진욱기자 jwchoi@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