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국제적인 파문(波紋)을 일으키면서 무엇보다 우리 경제를 위협하는 심각한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그 후폭풍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지 않아도 국제유가 급등,환율불안,글로벌 금리상승 등의 불안 요인이 중첩해 있는 마당에 미사일 발사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가중됨으로써 경제 회복의 발목을 잡게 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번 사태가 가뜩이나 어려운 우리 경제에 찬물을 끼얹는 일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당장 개성공단 경공업·자원협력 등 대북사업이 위기에 처할 수밖에 없게 된 것은 물론이고,앞으로 미국 일본 등 국제사회가 강도높은 대북 제재(制裁)에 나설 경우 한반도 긴장고조에 따른 대외 신인도 하락도 불보듯 뻔하다.

외국 기업들의 투자감소,수출위축과 함께 국제 금융시장까지 동요할 가능성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다.

그나마 안정적인 수출증가세를 바탕으로 한 정부의 경제운용 계획이 크게 흔들리고,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을 추진했던 한·미 FTA(자유무역협정)협상도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경제5단체 상근 부회장들이 오늘 긴급 회동을 갖고 이번 사태의 파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책을 모색키로 한 것도 재계의 심각한 위기감을 반영한 것에 다름아니다.

더구나 이럴 때일수록 우리 경제주체들이 위기극복을 위해 단합되고 안정된 모습을 보여야 하는데도 현실은 그 반대다.

대기업들의 잇따른 산별노조 전환,민노총의 터무니없는 반(反)FTA파업선언 등으로 노사갈등만 깊어지고 산업현장이 혼란에 빠져드는 등 한심한 지경이다.

한마디로 우리 경제가 한치 앞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으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

이미 경기선행지수가 4개월째 연속 내리막길을 보인데서 알수 있듯 경제회복에 대한 기대가 멀어지고 있는 마당에,미사일 발사 여파로 대외여건이 지금보다 더 나빠지면 4~5% 성장은커녕 경기가 다시 추락(墜落)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정책 당국은 위기대응 차원에서 어느 때보다 경각심을 높여 철저하고 세심한 경제운용으로 경기회복의 불씨를 살려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앞으로의 대내외 여건변화를 다각적으로 예측 분석하고 국제사회의 대응을 빈틈없이 파악해 다양한 시나리오별 대응책을 마련함으로써 하반기 경제운용에 조금도 차질을 빚지 않도록 최우선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