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가 다음 달 3일 부산에서 총파업을 벌이기로 했다. 화물연대의 부산 총파업은 생존권 확보라는 화물연대 요구와 더 이상 밀릴 수 없다는 삼성측의 강경대응이 맞물려 당분간 타결되지 않을 전망이다. 노동부는 파업 명분이 약한 데다 조합원들의 참여 열기도 저조할 것으로 보여 파업이 강행된다해도 파급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국화물연대는 27일 오전 광주 광산구 하남산단 운동장에서 노조원 1200여명이 모인 가운데 비상총회를 열고 파업을 결의했다. 이 같은 결정은 삼성광주전자의 운송을 맡고 있는 하도급 업체 극동컨테이너로부터 51명의 조합원이 계약해지되면서부터 비롯됐다. 화물연대는 이들의 고용을 보장하고 운송료를 인상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이 같은 조건의 이행을 극동컨테이너가 아닌 삼성광주전자가 보장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파업을 벌이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날 전면파업을 예고했던 화물연대가 이를 1주일 뒤로 연기한 것도 당장 파업에 돌입할 만큼 힘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화물연대는 비상총회가 끝난 뒤 곧바로 총파업에 돌입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파업예정일을 다음 달 3일로 늦추고 장소도 부산으로 바꿨다. 화물연대가 파업을 연기한 것은 국지적인 문제를 전국적인 파업으로 확대시키기에 부담이 많다는 점을 인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여일간 이어진 광주 화물연대의 시위로 교통 마비와 소음 공해로 불만을 호소하는 사례가 늘면서 지역 여론도 화물연대의 시위에 불리하게 작용했다. 여기에 광주·전남 지역 물류 경제의 규모가 다른 지역에 비해 적어 파업 효과가 미미한 데다 비상총회에 모인 노조원 참여 열기가 저조한 점이 지도부의 투쟁의욕을 꺾은 것으로 보인다. 찬·반 투표를 뒤로 한 채 거수에 의해 만장일치로 파업을 선언한 것부터 투표 결과를 확신하지 못한 지도부의 심증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광주=최성국 기자 sk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