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는 전통적으로 타협보다는 투쟁하는 문화가 강했지만 10∼20여년 전부터는 교섭문화가 정착돼 왔습니다." 프랑스 노동부의 아나이스 부레오 노사관계국 부국장은 "민간기업에서의 파업은 이제 많이 사라졌다"며 "프랑스에서 아직도 파업이 많은 것처럼 느껴지는 것은 교통 에너지 등 민영화를 추진하는 공공부문 사업장에서 노조의 반대투쟁이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신고용계약법 도입 과정에서 노동계의 저지를 어떻게 극복했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는 "어려운 경제 상황을 노조도 알고 있어 극렬한 반대 파업은 없었다. 노조의 역량으로 볼 때도 정부의 개혁조치를 저지할 만한 힘은 없을 것으로 판단했다"고 대답했다. 그는 "노동법 개정은 좌파와 우파 중 어느 쪽이 정권을 잡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하지만 정부는 경제적 사정에 맞춰 노동법을 개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파업방지를 위해 교섭횟수,기간 등을 법으로 제한하려 했으나 파업권을 제한할 수 있다는 지적이 많아 법제화하는 데 실패했다"고 밝혔다. 그는 프랑스 노사문화가 바뀌고 있는 것과 관련,"노조의 운동노선이 합리적으로 바뀐 탓도 있지만 파업에 대해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은 점도 작용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