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6자 회담에서 남측이 북측에 200만㎾의 전력을 제공키로 한 지난 7월의 '중대제안'을 재확인함에 따라 북한에 대한 전력공급 계획이 곧 구체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약 3년 뒤부터 전력을 공급하겠다고 밝힌 터여서 북한과의 실무협의를 거쳐 이르면 오는 2008년 하반기께부터는 전력공급이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산업자원부와 한국전력은 이미 송전 방법 등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골격을 세워놓은 상태다. 남한의 현재 발전 설비용량이 5996만㎾,발전량이 3421억㎾h인 만큼 북한에 연간 200만㎾의 전력을 공급하는 데 기술적으로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비용.초기 투자비가 최대 1조7000억원,연간 전력생산 비용이 8000억원에 달하는 만큼 재원 확보도 문제지만 이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작업이 무엇보다 급선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어떻게 전력 공급하나 북한에 공급키로 한 전력량은 제주도 전체가 피크 때 사용하는 소비량(50만㎾)의 4배며 남한 전체의 피크 시 전력사용량(5100만㎾)의 4%에 해당한다. 북한의 수풍발전소가 최대 발전할 수 있는 용량(60만㎾)의 3배를 웃도는 규모다. 정부는 일단 남북한의 전력계통이 달라 전력선을 직접 연결하기보다는 남한 계통에서 평양까지 송전선을 추가 건설해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현실적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경기도 파주시 신덕은 변전소에서 평양까지 345㎸짜리 송전선로 1루트(2회선)를 건설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신덕은 변전소는 LG그룹이 파주 LCD공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건설한 설비로 올 연말까지 한전에 완전 기부채납할 예정이다. 송전선로는 △평양 등 특정지역을 북한 송전계통에서 분리,남한 계통에서 송전선을 건설 및 연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제1안 △직류송전 방식을 이용해 북한 송전계통과 연계하면서도 북측 송전계통의 불안정 요소를 기술적으로 차단하는 제2안 등 2가지가 검토되고 있다. ◆막대한 송전비용 정부는 대북 송전비용으로 송전설비 건설비 5000억원,전력변환설비 건설비용 1조원 등 1조5000억원과 '플러스 알파'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송전 1안의 경우 송전시설 건설비 6000억원,변전시설비 9500억원 등 1조5500억원이,2안의 경우 송전시설 건설비 6000억원,변전시설비 1조1200억원 등 1조7200억원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했다. 그러나 이보다 더 큰 비용은 연간 1조원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대북 송전용 전력생산비.북한이 남한의 공급 전력 200만㎾를 모두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북한의 1년 사용전력량은 175억2000만㎾h가 된다. 여기에 전력거래소의 전력거래가인 ㎾h당 55원을 적용하면 전력생산비는 9600억원 정도가 된다. 북한의 실제 전력 사용량을 공급량의 80%로 보면 대북 전력생산비는 9600억원의 80%선인 8000억원 정도가 되는 셈이다. 정부는 대북송전 초기에는 경수로분담금 잔여비용 24억달러 중 초기시설 투자비용 15억달러를 제외한 9억∼10억달러를 사용하고 이후에는 남북협력기금 등 정부재원으로 조달하겠다고 밝혔었다. ◆경수로 합의되면 대북송전 중단 정부 고위당국자는 이날 "북한에 대한 경수로 제공은 우리측 중대제안에 따른 200만㎾ 대북송전 이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중대제안에 따라 전력이 북한에 제공되고 경수로 협의가 이뤄지면 전력제공은 그만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경수로 제공은 북한이 핵프로그램을 폐기하고 NPT(핵무기비확산조약)에 복귀하고 IAEA(국제원자력기구)의 안전조치를 이행할 때부터 논의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