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까지만 해도 재개발은 서울과 일부 수도권 지역의 전유물이었다. 서울 강북지역에서 주로 활발하게 진행됐고 경기도 성남시와 인천시 일부에서 사업이 시행됐다. 재개발 사업성의 관건인 분양가가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올들어 시공사 선정시기가 사업 초기단계로 대폭 앞당겨지고 지방의 분양가도 크게 상승한 것을 계기로 재개발 사업이 전국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올해는 지방 재개발 원년 건설업체들은 평당 6백만원대 분양가를 재개발사업의 필수조건으로 삼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빈 땅을 사서 신규 사업을 하는 게 낫다는 입장이다. 최근 들어 지방 아파트 분양가가 폭등하면서 재개발 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여기에다 지역주민 시공사 컨설팅업체 등 3자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가속도를 내고 있다. 부산 대전 천안 등 지방 대도시의 구도심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그동안 상대적 소외감에 빠져있었다. 인근에 조성되는 택지지구에선 아파트값이 하늘 높은줄 모르고 치솟았지만 구도심은 집값 상승 대열에서 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사업 추진에 나서는 분위기다. 건설경기 침체에 시달리던 시공사들도 지방 재개발을 호재로 여기고 있다. 서울지역에선 재개발 시공사 선정작업이 대부분 완료된 상태여서 일부 업체들은 지방 재개발을 전략사업으로 삼고 공격적으로 수주전에 나서고 있다. 컨설팅업체들도 적극적으로 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이들 업체들은 재건축이 막히면서 일감이 끊어지자 지방으로 내려가 주민들을 대상으로 재개발을 독려하고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땅값 상승으로 신규 사업이 어려워지자 업체들이 지방 재개발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며 "올해 안에 수도권 50~60곳,지방 20~30곳에서 재개발사업 수주전이 펼쳐질 것"이라고 말했다. ◆과열 경쟁으로 인한 부작용도 우려 일감 부족에 시달리는 건설사들이 출혈경쟁을 펼칠 가능성도 있어 과열·혼탁양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이미 부산에선 건설업체들이 선물 제공,식사 접대 등의 과열경쟁을 펼치고 있어 부산시가 조합 설립 이후 시공사를 선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을 정도다. 대전에서도 혼탁양상이 벌어지고 있다. 9일 시공사를 선정하는 대흥2구역에선 코오롱건설과 계룡건설이 극단적인 비방전을 펼치는 바람에 구청이 나서 비방물을 철거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업계 관계자는 "일감 부족에 시달리는 건설사들이 사활을 걸고 수주전에 나서게 되면 더욱 혼탁해질 것"이라며 "수주전에 투입된 비용은 결국은 조합원 부담으로 전가되는 만큼 추진위들은 과열 수주전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