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한달간 열리는 2월 임시국회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새해들어 진용을 새로 갖춘 여야지도부가 서로 입을 맞춘 듯 '무정쟁의 해'를 선언하고, 이번 국회를 민생경제를 살리기 위한 정책대결의 장으로 만들겠다고 다짐하고 있어 신선한 느낌마저 줄 정도다. 최근들어 경기도 조금씩 회복될 기미를 보이고 있다는 소식이고 보면 이번 국회에서 민생 경제법안들이 제대로 처리될 경우 경제회생의 전기가 마련될 수 있다는 기대도 크다. 여야가 '정책협의회'를 가동해 산업현장을 함께 방문하고, 법안 공동발의 등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한 것도 이같은 의지를 행동과 실천으로 보여주겠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한 일이다. 문제는 과연 정치권의 약속을 믿어도 좋은가 하는 점이다. 그동안 워낙 국민들을 실망시켜왔던 탓에 이번에 또다시 기대를 저버릴지 모른다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다. 그런 점에서 정치권은 모처럼 조성된 대화와 타협의 분위기가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주는 법안을 만드는데 쓰여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래야 투자가 늘어나고 일자리가 창출되는 등 경제회복 속도가 빨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 여당이 기업의 과거분식회계를 앞으로 2년간 집단소송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합의하고, 엊그제 이해찬 총리가 이를 재삼 강조한 것은 그런 차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당정이 합의한 개정안이 여당의 일부 강경파 의원들에 의해 번복됐던 것이 바로 지난 정기국회였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그런 일이 다시 되풀이돼선 안될 것이다. 민생안정을 위해 풀어야 할 과제는 한둘이 아니다. 외자유치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학교 설립 법안은 물론 각종 노사관계 법안 등도 과감한 규제 철폐 등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개정돼야 할 것이다. 국민연금법개정과 투자공사(KIC)설립도 같은 맥락에서 검토돼야 한다. 하지만 정치권 일각에서 또다시 개혁입법을 놓고 격돌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어 걱정이다. 경기선행지표가 9개월째 마이너스라는 통계청발표는 그러나 지금은 경제살리기에 전념할 때임을 분명히 보여준다. 어떤 일이 있어도 이번 국회에선 정치적 쟁점 법안들은 일단 접어두고 민생과 경제를 우선 논의해야 한다. 국민들은 모처럼 경기가 살아날지 모른다는 기대에 부풀어 있다. 여기에 정치권이 찬물을 끼얹는 일은 절대로 있어선 안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