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원유 자급률 10% 달성을 당초 2010년에서 2008년으로 앞당기겠다며 제2차 해외자원 개발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기업이 유전ㆍ가스전 개발에 나설 경우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은행 대출시 정부가 일정부분 보증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중 해외개발 비중을 2∼3년내 20%까지 확대키로 했다. 해외자원 개발에 속도를 내겠다는 정부 의도를 읽을 수 있다. 해외자원 개발은 최근 원자재난을 계기로 다시 부각된 측면이 크다. 하지만 이는 지속적으로 추진되지 않으면 안된다. 무엇보다 원자재 상황이 앞으로도 크게 달라질 것 같지 않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 원자재 블랙홀로 지목되고 있는 중국이 성장을 조절한다 해도 8% 이상은 유지할 전망이고 보면 원자재 대란이 해마다 되풀이될 가능성은 다분하다. 올해 사상최고치를 경신했다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국제 원유가도 신흥성장국들의 수요 증가와 중동지역의 정정불안 등을 감안하면 여전히 안심할 수 없다. 철광석 유연탄 비철금속 등도 가격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란 분석이다. 이제 해외자원 개발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상황인 것이다. 물론 그동안 우리가 손을 놓고 있었던 건 아니다. 미얀마 페루 등에서 잇따라 유전ㆍ가스전 개발의 개가를 올렸고,해외광구지분도 확보해 왔다. 그러나 이 정도에 만족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자원빈국인 우리로선 해외자원 개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뿐만 아니라 해외 자원 개발은 다른 나라들도 앞다퉈 나설 정도로 성공할 경우 대박을 터뜨릴수 있는 사업이기도 하다. 정부와 민간이 전략적인 협조체제를 갖춰 적극 투자에 나서 볼 만하다. 해외자원 개발에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나선다면 원자재난에 근원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강국의 꿈도 결코 멀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