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생활에 직결되는 공공요금이 줄줄이 인상대기중이라고 한다. 이에 따른 생활물가 상승으로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갈수록 힘들어지는 건 말할 것도 없고,소비위축을 심화시켜 경기회복이 더욱 지연되지 않을까 이만저만 걱정되는게 아니다. 이미 도시가스와 우편요금이 오른데 이어,내년 상반기까지 버스 및 택시요금,상·하수도 요금,전기요금 외에 담뱃값,쓰레기 봉투값,문화재 입장료 등의 인상이 결정됐거나 추진되고 있다. 여기에 고교수업료가 오르게 돼있고,TV방송 수신료 인상까지 추진되는 실정이다. 한마디로 오르지 않는 공공요금이라고는 없는 셈이다. 물론 이들 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사정을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니다. 국제유가가 안정세로 돌아섰다고는 하지만 지난해에 비하면 많이 오른 수준이고, 많은 공공요금이 물가억제 차원에서 몇년째 동결돼온 탓에 인상요인이 누적된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도 지금 서민가계는 최악의 상황에 몰려 있다. 장기불황으로 소득은 제자리걸음인데 세금·연금·이자 등의 지출이 크게 늘고 있다. 통계청 조사에서도 10가구중 3가구가 적자에 허덕이고 있고,지난 3·4분기 엥겔계수가 4년만에 최고를 기록한 것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다. 더구나 공공요금 인상은 전반적인 물가상승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여간해서 지출을 줄이기도 어려운 요금 특성상 다른 소비지출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결국 가계소비를 더욱 위축시키게 됨으로써 내수침체가 가속화되고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는 점점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무더기 공공요금 인상은 자제되어야 한다. 불요불급한 요금인상은 미루고,꼭 필요한 부문이라도 인상폭을 최소화하고 인상시기를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정부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나 기업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원가절감과 경영합리화를 통한 자구노력을 했는지부터 먼저 따져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