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월선한 북한 경비정의무선응신 허위보고에 관해 경위 조사를 벌였던 정부 합동조사단은 22일 조사를 끝내고 조영길(曺永吉) 국방장관에게 조사결과를 보고할 예정이다.

남대연 국방부 공보관은 이날 오전 브리핑을 통해 "합동조사단은 현재 관련부서정보유통 과정을 비롯해 세부적인 문제들을 추가로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오늘까지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조 장관은 합조단의 조사결과를 참고로 허위보고와 관련한 군 관계자들의 문책범위를 결정해 23일 청와대에 보고할 예정이며, 합동조사단은 청와대 보고가 끝나는 대로 조사 결과를 발표할 방침이다.

문책대상에는 합동참모본부 정보본부장에게 보고하지 않은 해군작전사령관(중장)과 대북 통신감청부대로부터 통보를 받은 뒤 정보본부장에게 올리지 않은 합참정보융합처장(육군준장), 북한 경비정의 무선응신 내용을 언론에 유출한 박승춘 정보본부장(육군중장)을 비롯해 해당 기관 핵심간부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군 수뇌부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으나 여권 일각에서 이번 사건이 마치 청와대와 군 사이의 갈등 양상으로 비화하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고 군의 사기저하 등을 고려해 문책범위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를내고 있어 조 장관과 김종환 합참의장 등은 대상에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의 한 핵심관계자도 전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이번 문제로 인해 국방장관에게 지휘.감독 책임을 묻는 것은 신중히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승춘 본부장은 사흘째 국군기무사령부 조사요원들의 강도높은 조사를 받았다.

기무사 조사요원들은 유출을 시인한 박 본부장의 사무실을 방문해 추가 조사를벌인데 이어 정보본부 정보융합처 등 관련부서를 대상으로 무선응신과 전화통지문의일부 내용이 박 본부장에게 보고된 경위 등을 조사했다.

기무사는 가급적 이날 안으로 박 본부장에 대한 조사를 끝내고 조 장관에게 조사결과를 보고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three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