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베를린공대 산하 리모델링 연구소(IEMB)는 연방정부 예산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이다.

1989년말 독일이 통일되자 연방정부는 옛 동독지역의 주거여건을 개선할 목적으로 1992년 리모델링 연구소를 설립했다.

지난 1년간 이 연구소에서 연수하고 돌아온 한국경제신문 김호영 기자가 현장에서 직접 배운 독일의 리모델링 접근방식을 소개한다.

독일 연방정부가 옛 동독지역에 지어진 아파트 중 리모델링 대상으로 꼽은 물량은 2백30만가구 정도다.

이 가운데 지금까지 약 80%가 리모델링됐다.

용도를 바꾼 아파트도 있고 주거 면적을 리모델링 이전보다 늘리거나 줄인 아파트도 있다.

양적 변화다.

하지만 그 변화는 겉으로 드러난 현상에 불과하다.

뒤에 숨겨진 질적 변화가 독일 리모델링의 참모습이다.

질적 변화의 기준은 건강(웰빙)주택과 에너지절감형 주택으로 리모델링하는 것이다.

독일의 주택 관련 연구기관들이 말하는 건강주택의 개념은 의외로 단순하다.

입주자들이 쾌적하게 느낄 수 있는 여건을 충족시켜주는 게 건강주택이다.

다시 말해 눈 코 입 귀 피부 등 인체 감각기관이 자극받지 않는 실내 여건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눈이 따갑고 냄새가 코를 찌르며 먼지가 입으로 들어간다면 건강주택이라고 할 수 없다.

소음이 귀를 자극하고 실내 온도가 적절치 않아 피부가 예민해져도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는 게 독일 연구기관들의 시각이다.

인체의 감각기관이 장기간 자극을 받게 되면 스트레스로 이어진다.

스트레스는 건강에 치명적이다.

따라서 독일에서는 집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할 때 '인체 감각기관을 편안하게'라는 기준을 최우선시한다.

프랑크 포그트 베를린공대 리모델링연구소장은 "리모델링은 집을 고치자는 것인데 이왕이면 합리적인 기준을 갖고 리모델링하는 게 옳은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국내에서도 아파트 리모델링 수요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국내 리모델링은 주로 면적을 늘리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듯하다.

면적을 늘리면 그만큼 집값도 상승한다.

하지만 선진국에서는 돈보다는 건강에 초점을 맞춘 리모델링을 지향하고 있다.

주택 실내환경 때문에 건강이 나빠지는 것을 원하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hykim@hankyung.com

--------------------------------------------------------------

※이 시리즈는 매주 목요일 실립니다.

다음 회부터는 건강한 실내 환경을 만들기 위한 독일의 접근 방식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