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2기(期) 내각을 이끌어 갈 국무총리에는 누가 유력할까.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이 문제에 대해 "어떠한 시사도 하지않고 있다"는게최근 대통령을 잇따라 면담한 여권 인사들의 공통된 전언이다. 노 대통령이 이처럼 언급을 자제하는 것은 헌재의 탄핵심판을 앞둔 미묘한 시점이기도 하지만 차기 총리 지명이 여권내 복잡한 역학구도와 맞물려 있기 때문이라는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현재까지 여권핵심부의 기류는 김혁규(金爀珪) 전 경남지사와 정동영(鄭東泳)열린우리당 의장이 근접해 있다는 쪽으로 모아진다. 최근 노 대통령을 독대한 한 여권 고위관계자는 23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이번 총선에서 여권의 최대과제로 부각된 `지역주의 청산'이라는 측면에서 김 전지사가 앞서나가는 국면"이라며 "게다가 경남지사 시절 CEO(최고경영자)형 지도자로 각인될 정도로 풍부한 행정경험을 갖춘것도 강점으로 작용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김 전지사가 총선전 한나라당을 탈당, 거센 반발을 샀던 사실을 상기시키면서 "그가 총리에 지명될 경우 한나라당측에서 강력한 태클을 걸 가능성이 있어 상생의 정치 구도와 배치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우리당 주변에서는 결국 정동영 의장이 유력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적지 않다. 어차피 `대권주자'로 부각시킬 생각이라면 행정실무 경험도 쌓고 당 의장의 위상에도 걸맞게 총리직을 맡기는 게 순리가 아니냐는 주장이다. 그러나 여권핵심부의 고민은 정 의장을 총리로 시킬 경우 역시 대권주자급인 김근태(金槿泰) 원내대표 문제를 어떻게 정리할 것이냐에 있다. 여권의 한 중진실세는 "두 분이 대권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 총리직은 맡지 않을것"이라고 단언한다. 차기 대선이 거의 4년이나 남은 시점에서 총리를 맡을 경우 곧바로 `차기 주자'로 부각돼 위험 부담이 너무 크다는 판단에서다. 더욱이 야당측 공세로 조기 사퇴라도 하게 되면 대권주자 반열에서 완전 탈락할 수 밖에 없다는 우려도 없지 않다. 이에 따라 `대권주자급'이 아닌 제3의 관리형 인물 부각 가능성도 흘러나오고있다. 경제계 쪽에서는 진 념(陳 稔) 전 경제부총리와 전윤철(田允喆) 감사원장, 이헌재(李憲宰) 현 경제부총리 기용설이 있고, 우리당쪽에서는 문희상(文喜相)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부상설도 있다. 일각에선 첫 여성 총리 발탁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번 총선과정에서 열린우리당비례대표 영입 1순위였던 언론계 모 중진인사를 비롯, 법조계, 시민단체 인사들이심심찮게 거명된다. 아울러 청와대 일각에서는 "`행정의 달인'인 고 건(高 建) 대통령 권한대행만한인물이 없다"는 얘기도 나온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기자 cb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