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를 결정하기 위한 첫 예비선거(프라이머리)가 열린 뉴햄프셔주의 작은 도시 데리. 지난달 27일 투표 직전 존 케리 매사추세츠 상원의원은 이곳에 있는 핀커톤 아카데미에서 마지막 유세를 가졌다. 간단한 연설을 끝낸 뒤 20여명으로부터 질문을 받아 능숙하게 답변하는 모습에서 내리 4선에 성공한 상원의원의 경륜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료보험,교육,외교 안보, 사회문제 등 전 분야에 걸쳐 해박한 지식으로 질문자들의 궁금증을 충족시켜 줬다. 하지만 경제 분야로 질문이 모아지면서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답변이 튀어 나왔다. 해외로 일자리를 옮기는 기업이나 기업인들에겐 각종 인센티브를 회수하겠다는 경고가 바로 그런 내용들이었다. 조지 W 부시 대통령 취임 이후 3백만개에 가까운 일자리가 없어져 고통을 겪고 있는 국민들로부터 반사적 지지를 얻기 위해 강조한 정책이었지만 일부 지지자들은 그런 생각을 갖고 있는 정치인에게 대권을 맡길 수 있을지 걱정했다. 기업들의 공장 해외이전은 살아남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인데 그런 기업에 불이익을 준다는 것은 설득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공장을 옮기지 않고도 수익을 낼 수 있다면 어떤 기업이 해외로 나가겠는가. 소비자들 입장에서 본다면 기업들이 저임금 국가로 공장을 이전할 수록 값싼 제품을 많이 쓸 수 있게 된다. 주주들에게 돌아가는 몫도 커진다. 문제는 사라진 일자리의 재창출인데 앨런 그린스펀 FRB(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은 미국은 새산업을 통해 새일자리를 창출할 능력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일자리 손실을 심각하게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자신감을 피력한 것이다. 그린스펀 의장의 철학이 진리는 아니다. 하지만 케리 후보의 주장처럼 공장을 이전한다고 그 기업을 응징해야 한다는 경제관은 경제 전문가나 기업인들의 지지를 받기 어려울 것이다.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 열기는 아이오와 코커스와 뉴햄프셔 프라이머리를 거치면서 뜨거워지고 있다. '사라진 일자리' 논쟁은 그 열기를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맨체스터(뉴햄프셔주)=고광철 특파원 gw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