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여일 끌어온 LG카드 사태가 일단락됐다. LG카드는 부도 위기에서 벗어나 앞으로 1년동안 산업은행의 직접 관리를 받는 채권단 소유의 회사로 새 출발하게 됐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채권단과 LG그룹의 지원 결정은 정상화를 위한 발판에 불과할 뿐 회생을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다른 채권자들의 만기연장,부실자산 정리와 수익구조 개선,연체 감축,매각 성공 등 산적한 과제들을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LG카드의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추가 부실 책임 막판 쟁점은 'LG카드가 공동관리에 들어간 뒤 추가 자금 수요가 생길 경우 누가 책임질 것이냐'의 문제였다. 정부는 최종적으로 추가 자금을 최대 5천억원으로 산정한 뒤 이를 산업은행과 LG그룹이 각각 25%(1천2백50억원)와 75%(3천7백50억원)씩 책임지도록 했다. LG그룹은 3천7백50억원어치의 회사채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필요자금은 그룹에서 현금을 동원하되 마지막에는 채권단에 담보로 맡긴 구본무 LG그룹 회장 소유의 ㈜LG 지분(5.46%)을 처분해 마련키로 했다. 실제 추가 자금 지원금액이 3천7백50억원에 못미치거나 1년 이내에 자금 수요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엔 1년이 경과하는 시점에 구 회장에게 주식을 반환키로 했다. ◆LG카드 얼마나 지원받나 채권단은 우선 종전 채권 2조원을 출자전환하게 된다. 또 12일부터 1조6천5백억원을 유동성으로 지원하고 나중에는 이마저도 자본으로 전환해 준다. 구체적으론 '1조6천5백억원 유동성 지원→1조원 출자전환→44 대 1 감자(자본금 감축)→1조원 출자전환→1조6천5백억원 출자전환'의 과정이다. LG투자증권의 매각이익(3천5백억원 예상)도 유동성으로 지원한 뒤 최종적으로 출자전환하게 된다. 만일 매각이익이 3천5백억원에 미치지 못하면 10개 은행이 균등 분담키로 했다. 산업은행은 추가 자금소요가 있을 경우 최대 1천2백50억원을 지원하게 된다. LG그룹은 후순위 전환사채 인수로 5천억원,회사채 매입으로 3천억원 등 모두 8천억원의 유동성을 제공한다. 또 추가 자금 소요시 최대 3천7백50억원을 떠맡는다. 이렇게 되면 최대 5조3천억원이 LG카드에 투입된다. ◆문제는 없나 당장 추가 자금 수요가 발생할 경우 LG그룹과 산업은행이 5천억원만 부담토록 한 점이 문제다. 자금수요가 5천억원을 넘을 경우 명확한 책임 소재를 확정하지 못했다. 합의서에는 '산업은행을 제외한 15개 금융회사는 추가 자금을 지원하지 않는다'로 명시돼 있다. 그렇다고 산업은행이 부담토록 확정된 것도 아니다. LG카드가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느냐도 관건이다. 만일 시장의 신뢰를 얻지 못해 채권 상환요구가 잇따를 경우 추가 자금 수요가 수조원에 달할 수도 있다. LG투자증권 매각 이익이 3천5백억원에 모자랄 경우 분담문제도 불씨다. 채권단은 모자라는 금액은 10개 은행이 분담키로 했지만 약속이 실행될지는 미지수다. 위탁경영을 맡은 산업은행은 이런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LG카드의 정상화와 함께 매각도 함께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다행히 원매자가 일찍 나서면 문제가 없지만 매각작업이 1년을 넘길 경우 정부와 채권단은 또 한번 LG카드라는 늪에서 허우적거리게 될 수도 있다. 하영춘·김용준·김인식 기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