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벽두부터 금융시장을 짓눌러온 LG카드 사태가 극적인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다. 공동 관리 해법을 놓고 줄다리기를 해온 정부와 국민은행은 7일 `단독 관리'라는 돌파구를 마련, 채권단의 정상화 지원안 타결이 임박하고 있는 분위기다. 그러나 산업은행과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 등이 반발하고 있어 앞으로의 관리구도가 과연 어떤 틀을 갖출 지, LG그룹에서 유동성 지원을 이끌어낼 수 있을 지 등이 과제로 남아 있다. ◆`단독 관리' 낙착..국민銀 요구 관철 공동 관리로 밀어부치던 정부와 책임 관리를 주장해 온 국민은행간의 명분 싸움은 결국 국민은행쪽의 승리로 귀결되고 있다. 정상화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공동 관리로는 앞으로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지원이 어려운 만큼 특정 은행이 책임지고 관리해야 한다는 게 그동안 국민은행이 내세운 요구였다. 여기에는 국민은행 이외에 신한.조흥.하나은행 등이 동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동 관리 이외에 해법이 없다던 정부와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도 결국 이같은 대세에 밀려 수용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 그러나 국민은행이 얻는 최대 `전과'라면 LG카드의 추가 유동성과 경영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겠다는 약속을 얻어낸 것이다. 금융계 관계자는 "더 이상 LG카드 문제에 끌려다니지 않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성과"라고 말했다. 국민은행은 LG그룹에 대한 추가 지원 압박에 대다수 채권단의 동참도 이끌어냈다. 물론 정부로서도 산은 지분을 30% 이상 높이는 것을 막아 공적 자금 투입 부담을 최소화한 것이 나름대로 성과로 꼽힌다. ◆단독 관리 주체는 산업은행 또는 산은+우리은행 구도로 갈 가능성이 높다. 산은은 이미 공동 관리안에서 1대 주주로서의 역할을 맡는 쪽으로 낙착돼 있고 정부와 채권은행들 사이에 산은의 지분 참여 비율을 19%에서 25%로 끌어올리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다만 산은이 단독 관리에 따른 부담이 너무 클 수 있어 정부 지분이 많은 우리은행도 함께 관리 주체가 될 가능성이 있다. 기업은행이나 농협도 정부 지분이 있지만 외국인 등으로 주주 구성이 복잡하다는 등의 이유로 논의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산은 반대 심해..정부 결정 필요 산업은행이 단독 관리할 경우 이는 사실상 `파킹(일시 인수 후 매각)'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산업은행으로서는 단독 관리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단독 관리란 결국은행 혼자서 LG카드 경영에 대한 전반적 책임을 진다는 의미여서 현실적으로 산은이감당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산은 관계자는 "아무리 국책은행이라고 하더라도 LG카드와 같은 엄청난 부실을 가진 금융기관 처리를 단독으로 맡는다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하고 "모든 손실 부담과 지원을 혼자서 덤터기 쓰라는 말이냐"고 반문했다. 정부로서도 LG카드 지원 문제로 산은의 재무구조가 악화될 경우 이에 대한 손실을 보전해야 할 입장이어서 난감해하는 표정이다. ◆LG그룹 지원 압박이 관건 정부와 금융 감독 당국 관계자들은 "이제 공은 LG그룹으로 넘어갔다"고 말한다. 채권단과 정부가 일정한 책임을 지는 자세를 보이는 만큼 공평 손실 분담 원칙에 따라 LG그룹도 추가적인 유동성 지원에 나서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당초 LG그룹이 유상증자하기로 한 1조1천500억원 이외에 수 천억원의 유동성을 지원하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채권단의 핵심 관계자는 "현재 1조1천500억원 증자를 포함해 총 2조원의 자금이 투여돼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더 이상의 지원은 어렵다는 게 LG그룹의 입장이다. LG그룹 관계자는 "작년 말의 2천억원 유상증자에 이어 추가로 8천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개인 대주주와 ㈜LG를 비롯한 계열사들이 인수를 추진 중"이라고 상기시키고 "더 이상의 추가적인 유동성 부담은 현실적으로 방법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채권단은 손실 분담 최소화 차원에서 LG그룹을 상대로 추가 유동성을 지원하라고 전면적인 압박에 나설 것으로 보여 LG그룹의 지원 문제가 막판 최대 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