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개발공사가 공개한 상암동 아파트 분양원가 내역은 충격적이다. 평당 분양가 1천2백11만원 중 땅값 자재비 인건비 외에 지급이자 판매관리비 등 간접비용까지 모두 합해도 원가는 7백5만원에 불과해,평당 차익이 5백6만원으로 이윤율이 무려 41.7%나 되기 때문이다. 공공기관인 도시개발공사가 이 정도니 평당 분양가가 3천만원에 육박하는 민간 건설업체의 경우,얼마나 엄청난 이익을 챙기는지 알 만하다. 무분별한 분양가 상승이 부동산 투기를 부채질하고 서민가계를 파탄지경에 몰아 넣었는데도, 정작 업체들은 이를 틈타 폭리를 누렸으니 지탄 받아 마땅하다. 외환위기 이후 연간 물가상승률이 한자릿수에 머물렀는데도,분양가만 특별한 이유 없이 해마다 수십%씩 올랐고 강남 등 일부 지역은 지난 몇년 동안에 5∼6배가 넘게 인상됐다. 또한 주변 집값을 기준으로 분양가를 책정하는 바람에 집값상승을 자극하는 악순환까지 벌어졌다.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고 공급이 늘어 가격이 안정되는 시장원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점에서,일방적인 분양가 인상은 전형적인 '시장실패'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건설업계는 땅값 인건비 자재비 등이 많이 올랐고 고급 마감재를 쓰는 바람에 원가가 올라 어쩔 수 없다고 둘러댔지만,이번 분양원가 공개로 이같은 변명이 몽땅 거짓말이라는 게 드러났다. 그러나 따지고 보면 이같은 결과가 초래된 데에는 정부책임도 크다.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분양가 자율화를 단행한 것도 모자라,분양권 전매를 허용해 투기를 조장하기까지 했으니 말이다. 이제 더이상 분양가 공개를 미룰 아무런 이유가 없다고 본다. 업계가 반발하면 공기업인 주택공사부터 분양가 공개에 앞장서야 마땅하다. 물론 분양가를 다시 규제하는 건 곤란하지만,주택건설업체들이 세금을 제대로 냈는지 철저히 조사하는 등 분양가 하락을 유도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