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오는 2020년 원자력 발전의 점유율이 전체발전량의 32%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이 전력난 타개를 위한 별도의 원자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 중일 가능성이 고개를 들면서 북핵 회담에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14일 미국의 노틸러스연구소(www.nautilus.org)에 따르면 북한은 이 연구소 주최로 10월초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제3차 동북아 전력계통연계 워크숍에서 향후발전시설용량의 급증을 전제로 수력-화력-원자력별 시설용량이 2010년 51-32-17%, 2020년에 43-25-32%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구성비 전망은 신영성 북한 전기석탄공업성 부상이 지난 1월 조선신보에 올해부터 시행된다고 밝힌 `전력증산 3단계 계획'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특히 원자력 비중을 32%까지 잡은 점은 원전에 집착을 보이는 북한이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의 100만kW급 경수로 2기(총 200만kW) 이외에 별도의 원전 건설안을 전력증산계획에 포함시켰을 것이라는 해석을 낳고 있다. 이런 해석은 북한의 최근 발전시설용량이 가동여부와 무관하게 총 800만kW 안팎으로 평가되는 만큼 향후 시설용량이 늘지 않고 KEDO 경수로가 모두 가동된다고 가정하더라도 원자력 비중은 20%를 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것. 또 북한이 보유한 영변 5MW(5천kW) 원자로(79년 착공, 86년 가동)와 지난 10월건설재개를 시사한 영변 50MW(5만kW) 원자로(85년 착공, 94년 중단), 태천 200MW(20만kW) 원자로(89년 착공, 94년 중단) 등 3곳의 용량합계도 25만5천kW로에 불과해 KEDO경수로 를 합산한다 하더라도 2020년 목표치인 32%와는 격차가 커 보인다. 게다가 신영성 부상은 지난 1월 "(94년 이전에) 영변 시험용 원자로가 성공하면함경북도와 황해남도에 원전을 건설할 구상이었다"고 말했고, 러시아 원자력부 장관도 같은 달 "북한에 원전을 지어줄 수 있고 이는 북핵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어 원전프로젝트 추진 가능성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 앞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간의 작년 8월 정상회담에서도 원전을 북-러 국경에 지어 공동이용하는 안이 거론된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한편 북한은 이 워크숍에 전기석탄공업성 김명철ㆍ김재록 국장, 김준홍 전력 및원격조종연구소장 등 모두 7명의 대표단을 보냈고, 미국은 물론 한국, 중국, 일본,러시아 등지의 전문가가 참석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준영기자 prince@yonhapnews